![](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29/20210329142021137381.jpg)
반도체 산업단지 조감도 [사진=용인시 제공]
지난 2019년 3월 국토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산업단지 특별물량을 배정받은 지 2년여만이다. 시는 산업단지 특별물량 배정 후 지난해 11월 한강유역환경청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거쳐, 지난 1월 경기도 지방산업단지계획 심의와 3월 국토부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 등 관련 절차를 단계적으로 밟아왔다.
이 과정에서 인근 지자체와의 지역갈등으로 8개월간 사업이 지연돼 난항을 겪기도 했고, 지난 2년간 100여곳 이상의 관계부처와 협의를 하고 4차례의 주민 공람을 거치면서 사업 계획을 수정‧보완해 왔다.
이에 따라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주요 행정절차 마무리로 금명간 토지보상 절차에 착수해 하반기 중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사업비 약 1조7903억원을 투입해 부지를 조성하고, 향후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설비 구축에 120조가 투입된다.
지난달 23일에는 정부로부터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은 물론, 이천~용인~수원~평택~안성을 잇는‘K-반도체 벨트’의 거점이 구축됐다는 평이다.
백군기 시장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시의 100년 미래와 국가적으로도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유지를 위해 반드시 적기에 조성돼야 할 것"이라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시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조성으로 약 3만명에 달하는 일자리 창출은 물론 513조원의 생산유발과 18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계획에 대해 일각에서는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경찰이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해 경기도청 전 간부 공무원과 LH 직원들을 수사중인 가운데 용인시가 29일 반도체클러스터의 일반산업단지계획 최종 승인을 전격 발표했기 때문이다.
용인시는 땅 투기 의혹 규명과 행정절차 진행은 별개라고 해명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수상한 땅거래 의혹이 잇따라 나오고 경찰수사까지 진행중인 상황에서 갑자기 승인 결과를 발표한 것은 '비상식적'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