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수도권 중소기업 55%, 지방 이전 검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현상철 기자
입력 2021-05-02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의 절반 이상이 지방 이전을 검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이전 이유는 ‘공간 확보’와 ‘임대료’ 때문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대전·세종을 포함한 충청도였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지난달 25일 중소벤처기업 2188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지역혁신성장 동력 발굴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KOSME 이슈포커스’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조사 결과,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55%는 지역 이전을 고려한 적이 있었다. 이전 경험이 있는 기업은 19.8%, 곧 이전할 계획인 기업은 10.2%, 이전을 고려했지만 실행하지 않은 기업이 25%를 차지했다.

이전 희망지역은 대전·세종·충청 권역이 57.9%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16.9%) △충남(15.4%) △충북(15.1%) △부산(12.4%) △경남(11.9%) 순이었다.

중소기업이 수도권을 떠나 지역 이전을 고려(실행)한 이유는 51.3%가 ‘적정한 공간 확보 가능 및 임대료 감면의 장점’을 꼽았다.

이어 △발주처, 협업기관, 파트너와 연계의 편리(29.9%) △유통·물류 원활(21.4%) △지역이전의 혜택(18.8%) △직원들의 거주환경 개선(17.1%)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 이전 시 고려사항은 본사와 공장의 경우 ‘사업장 확보’라는 응답이 각각 50.2%(본사), 52.9%(공장)로 가장 높았다. 연구소는 ‘인력 확보(50%)’를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었다.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채용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85.9%로 높았다. ‘조건에 따라 다르다’는 응답은 12.8%를 차지했고, ‘채용할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지역 이전 시 가장 필요한 인센티브는 응답기업의 42.5%가 ‘정부 보조금 등 이전 지원금’을 선택했다.

10곳 중 8곳 이상(84.2%)은 현재 사업 분야와 지역의 특성을 연계하는데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88.6%는 지역 중견기업과 매칭 의향이 있었고, 지역 기업 간 네트워크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77.5%였다.

보고서는 “기업 활동 전반에 걸친 우호적인 지역창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며 “지역 창업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불리한 여건을 상쇄시킬 수 있는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은 “중소벤처기업은 지역경제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성장 동력”이라며 “중진공은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관점에서 지역주력산업 성장촉진 프로젝트와 청년 창업기업의 지역이전 지원 등을 추진해 지역균형 뉴딜의 정책성과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