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계산업이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계 개발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으로 경쟁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업계에서는 이를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제4차 미래산업포럼’을 열고, 국내 기계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제4차 미래산업포럼’을 열고, 국내 기계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스마트 공장‧제품 함께 추진해야···에너지 효율화 필요
김현정 딜로이트컨설팅 부사장은 “한국 기계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4단계 중 1단계인 탐색을 조금 벗어나는 수준으로 평가 됐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기계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이 늦은 이유에 대해서는 “조립공정 중심이라 기술변화가 크지 않고, 기업간 규모 편차도 커서 표준화된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과 모범사례 도출이 어렵다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기계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방안으로는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 제품’ 달성을 함께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김 부사장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판매 이후 데이터까지 수집‧분석해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에게는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수준까지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고효율‧친환경 기계 개발을 통해 사회 전반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함과 동시에 신시장도 개척하는 일석이조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 본부장은 “기계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은 전체 제조업의 4.5% 수준으로, 공정 특성상 직접배출(9.5%)보다 간접배출(90.5%)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며 “고효율 기기 도입, 낙후 시설교체 등의 에너지 효율화를 통해 감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계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규제 및 제도 개선 추진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최근 국내 기계산업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라는 산업여건 변화와 함께 중국의 추격, 선진국과의 경쟁 심화 등도 겪고 있다”며 “그간 쌓아온 위상을 지켜내고 제2의 도약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차세대 기계장비 분야는 가상‧증강현실, 무인시스템, 네트워크 융합 같은 혁신기술 접목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신기술 R&D 투자 세액공제 개선, 기술보증기금 지원 대상 범위 확대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친환경 기계에도 전기차 수준의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최형기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은 “기계산업은 99%가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작년에 수출 479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287억 달러를 기록한 효자산업”이라며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으나 산업내 기업별 격차가 다른 산업보다 큰 만큼 맞춤형 지원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석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공작기계의 핵심기술인 CNC 시스템 국산화가 정부지원으로 진행 중인데 장기 개발 프로젝트인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최석진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건설기계는 자동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내연기관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탄소절감을 위한 해법으로 친환경 장비 개발에 나서고 있다”면서 “기술개발과 친환경 건설기계 구입 등에 자동차 산업과 동일한 수준의 세제혜택과 보조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