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까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매우 저렴했던 탄소배출권 가격이 최근 두 달 동안 2.5배 이상 급증하면서 올해 중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올해 매입해야 할 배출권도 많아진 상황에서 가격까지 치솟아 탄소배출이 많은 국내 철강·화학 대기업의 실적이 크게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6일 재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탄소배출권 중 현재 가장 거래가 많이 되는 KAU21은 이날 2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KAU21이 상장된 올해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가격이다. KAU21은 지난달 25일 2만9500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몇 거래일째 견조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가격은 KAU21의 최저점인 지난 6월 23일 1만1550원 대비 2.5배가 넘게 늘어난 수준이다. 두 달 만에 급등한 가격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지난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된 이후 한국거래소는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설정해준 할당량보다 탄소를 더 많이 배출한 기업은 이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야만 한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라 시시각각 변해왔다.
다만 지난해 탄소배출권(KAU20) 가격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들이 제품 생산을 줄이면서 2만3000원 수준까지 순차적으로 하락했다. KAU21은 올해 초 2만3000원에 거래됐으나 곧 2만원 이하로 가격이 낮아졌다.
이 같은 탄소배출권 가격은 최근 기업들의 부담을 경감해주는 측면이 있었다. 지난해 LG화학의 탄소배출부채 규모는 49억원을 기록해 2019년 252억원 대비 80.5% 줄었다.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도 80억원에서 16억원으로 80% 줄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 경기 회복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상향 조정돼 기업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가격이 낮아진 상반기보다 거래가 많은 하반기 가격이 급등한 탓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 1992만원 수준이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하반기 1억2184만원으로 6배 이상 늘었다.
올해를 기점으로 규제가 강화된 것도 부담스러운 요소다. 정부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1기 기간(2015~2017년)에는 기업에 할당량을 100% 무상으로 나눠줬다. 이후 정부는 유상할당 비중을 2기(2018~2020년)에 3%, 올해부터 시작되는 3기 10%로 확대했다. 단순히 보더라도 기업이 매년 동일한 규모의 탄소를 배출하더라도 올해는 지난해보다 3.3배나 많은 탄소배출권을 매입해야 하는 구조다.
재계 관계자는 "배출권 거래가 집중되는 하반기에 경기 회복이 겹치면서 가격이 짧은 기간에 매우 크게 올랐다"며 "연말까지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 탄소배출이 많은 철강·화학 기업들의 재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6일 재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탄소배출권 중 현재 가장 거래가 많이 되는 KAU21은 이날 2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KAU21이 상장된 올해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가격이다. KAU21은 지난달 25일 2만9500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몇 거래일째 견조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가격은 KAU21의 최저점인 지난 6월 23일 1만1550원 대비 2.5배가 넘게 늘어난 수준이다. 두 달 만에 급등한 가격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06/20210906152731790230.jpg)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다만 지난해 탄소배출권(KAU20) 가격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들이 제품 생산을 줄이면서 2만3000원 수준까지 순차적으로 하락했다. KAU21은 올해 초 2만3000원에 거래됐으나 곧 2만원 이하로 가격이 낮아졌다.
이 같은 탄소배출권 가격은 최근 기업들의 부담을 경감해주는 측면이 있었다. 지난해 LG화학의 탄소배출부채 규모는 49억원을 기록해 2019년 252억원 대비 80.5% 줄었다.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도 80억원에서 16억원으로 80% 줄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 경기 회복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상향 조정돼 기업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가격이 낮아진 상반기보다 거래가 많은 하반기 가격이 급등한 탓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 1992만원 수준이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하반기 1억2184만원으로 6배 이상 늘었다.
올해를 기점으로 규제가 강화된 것도 부담스러운 요소다. 정부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1기 기간(2015~2017년)에는 기업에 할당량을 100% 무상으로 나눠줬다. 이후 정부는 유상할당 비중을 2기(2018~2020년)에 3%, 올해부터 시작되는 3기 10%로 확대했다. 단순히 보더라도 기업이 매년 동일한 규모의 탄소를 배출하더라도 올해는 지난해보다 3.3배나 많은 탄소배출권을 매입해야 하는 구조다.
재계 관계자는 "배출권 거래가 집중되는 하반기에 경기 회복이 겹치면서 가격이 짧은 기간에 매우 크게 올랐다"며 "연말까지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 탄소배출이 많은 철강·화학 기업들의 재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06/20210906151253197392.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