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3밀’(밀폐, 밀접, 밀집) 장소인 엘리베이터 안에서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 기술 특허 출원이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 차단 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15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4건으로 증가했다.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바이러스 전파 차단 기술은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살균‧소독하는 기술 △접촉식 버튼을 살균‧소독하는 기술 등이 주로 출원됐다.
기술별 출원은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이 40건(35%), 내부 공기 정화와 살균‧소독 기술은 38건(33%), 버튼 살균‧소독 기술은 36건(32%)으로 집계됐다.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은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해 사람의 손을 인식해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과 음성 및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 등이 주로 적용됐다.
내부 공기 정화와 버튼 살균‧소독 기술은 엘리베이터 내에 사람이 없을 때 살균제 살포 또는 UV(자외선)로 살균‧소독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공기 정화 및 살균‧소독 기술과 버튼 살균‧소독 기술 분야의 출원은 매년 10건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지난해 각각 38건, 36건으로 증가했다.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2019년까지 기업‧연구기관 출원 비중이 71%로 높았으나, 지난해에는 개인(61%) 비중이 기업‧연구기관(39%)을 앞질렀다.
통계청은 국민 개개인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서 떠오른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허청 운송기계심사과 박주성 심사관은 “이번 엘리베이터 사례와 같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문제점과 불편 해소를 위한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특허청도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