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극 ‘흥보展(전)’은 과거와 현재를 절묘하게 넘나들었다. 대형 엘이디(LED) 패널 2대를 이용한 다채로운 장면 연출은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시공간을 연결했다.
국립극장(극장장 김철호)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유수정)은 창극 ‘흥보展(전)’을 15일부터 오는 21일까지 서울 중구 해오름극장에서 초연한다.
배우이자 연출가인 김명곤, 한국을 대표하는 명창 안숙선, 세계적인 설치미술가 최정화 등 각 분야 거장들이 의기투합해 판소리 ‘흥보가’를 동시대 상상력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작품이다.
‘흥보展’은 제목 그대로 한 편의 전시(展)와 같은 무대를 선보인다.
무대 미술을 총괄한 최정화는 ‘흥보전(傳)을 전시(展示)’한다는 주제(콘셉트)를 내세워 공연과 전시의 경계를 과감히 무너뜨렸다.
세계적인 설치미술 작가인 그는 영화 ‘복수는 나의 것’ 미술감독, 현대무용가 안은미의 무대디자이너, 평창동계패럴림픽 개·폐막식 미술감독 등 다방면으로 활동해왔다. 창극 작품은 이번이 처음이다.
단순한 무대에 대형 LED 패널 2대가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작품의 시공간을 직조해낸다. LED 패널을 이용한 영상 통화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다.
최정화 작가는 “판소리는 수백 년 전 민중의 밑과 옆·곁에서 이루어진 놀이이자 생활 속의 예술이었을 것”이라면서 “전통도 누군가 향유할 때 의미가 생기고 그것이 이어진다. 이번 작품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재해석한 판소리 ‘흥보가’를 지금의 관객들이 즐기고 다시 우리 옆의 이야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최정화의 기둥 시리즈 ‘세기의 선물’도 LED 영상을 통해 등장한다. 한국의 웨딩홀 기둥을 모방해 화려한 색을 칠한 작품은 급격한 근대화와 서구화를 읽어낸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극 중 놀보 장면과 조금도 이질감 없이 어우러지는 작품은 물질 지향적인 세태와 인간의 허위의식을 예리하게 풍자한다.
‘흥보展’은 9월 해오름극장 공식 재개관 이후, 국립창극단이 처음 선보이는 무대인 만큼 창극의 독창적 성격을 정립하는 데 기여한 연출가 허규(1934~2000)의 ‘흥보가’(1998)를 원작으로 삼아 그 의미가 더욱 뜻깊다.
극본·연출은 판소리에 조예가 깊은 김명곤이 맡는다. 그는 판소리 ‘흥보가’에 담긴 전통적 가치와 재미, 감동을 지켜내고 원작의 줄거리는 유지하되 행간에 자신만의 독창적인 상상을 불어넣는다. ‘박’이라는 존재가 상징하는 민중의 염원을 중심으로 이야기 속 ‘제비 나라’ 장면을 새롭게 추가해 환상적이고 극적인 재미를 부여했다.
연출가 김명곤은 “판소리 ‘흥보가’가 고달픈 세상살이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진 욕망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라며 “2021년 창극 ‘흥보展’은 다양한 인간의 면면을 드러내며 한 번쯤 판타지를 꿈꾸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라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이번 작품의 작창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판소리의 거장 안숙선 명창이, 음악감독은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인 박승원이 맡았다. 판소리 다섯 바탕을 여러 차례 완창하며 각 유파의 소리를 섭렵한 안숙선 명창은 ‘흥보가’의 다양한 창본을 바탕으로 소리를 엮었다.
안숙선 명창은 “‘흥보가’는 조선후기 서민들의 애환을 가장 잘 그려낸 작품이다”라며 “수 백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에게도 어떻게 사는 것이 진정으로 행복한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라고 말했다.
박승원·최성은·김창환 세 명의 작곡가는 전통 국악기인 가야금·거문고·대금·피리·태평소·아쟁·소리북과 바이올린·첼로·콘트라베이스 등의 서양 악기를 절묘하게 조화시킨 음악으로 판소리의 멋과 맛을 오롯이 살려냈다.
무엇보다 판소리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는 작품이다. 국립창극단 전 단원을 포함해 총 59명의 대규모 출연진이 해오름극장 무대를 가득 메웠다.
흥보 역은 다양한 캐릭터로 팔색조 매력을 선보인 김준수, 놀보 역은 선 굵은 연기로 이목을 집중시키는 윤석안이 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