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첫 금융지주회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권 수장들과 연이어 만나 금융사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규제, 사후 감독보다는 사전 감독 기능 강화와 리스크 예방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오는 12일 취임 100일을 맞는 정 원장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금감원은 지난 3일 금감원장-금융지주회장 간담회 논의결과 자료를 통해 “금융지주회장들은 국내 금융지주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금감원이 검토 중인 주요 개선과제를 환영했다”라며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저해하는 여러 애로사항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금감원이 추진 중인 개선방안은 차질없이 마련할 예정”이라며 “오늘 간담회에서 제기된 여러 제안을 환영하며,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지난 9일 시중은행장 간담회에도 같은 기조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날 시중은행장들을 향해 “우선 금융시스템 및 금융회사의 각종 리스크요인을 신속하게 감지해 찾아내는 상시감시기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스트레스테스트 및 시나리오 분석 등 미래 예측적 감독수단도 더욱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장검사도 위규사항 적발이나 사후적 처벌보다는 은행 건전성에 대한 평가·분석을 토대로 리스크 취약요인을 파악하고 은행이 이를 개선토록 가이드 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며 “상시감시 등을 통해 파악된 중요 위험요인에 대해서는 적기에 신속하게 검사를 해 선제 대응하는 수시 테마검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권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행정력을 겸비한 관료출신답게 업무 이해도가 높고, 내부 소통에도 능하다는 것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누가 맞고 틀렸다는 것을 확정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행보는 금융산업 발전에 대한 기대를 하게 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 같은 기조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금융정의연대 등 금융소비자단체는 최근 사모펀드 사태 등은 지난 2015년 규제 완화 기조를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들은 규제 완화로 불법 행위에 대한 관리가 허술해 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