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 가운데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게 있다면 바로 ‘업무 건전성 관리’ 문제가 될 것이다. 저축은행은 아직까지도 은행·카드·보험 등 타 금융업권에 비해 내부 관리가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저축은행 전체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치명적 결함으로 작용한다. 특히 자금 관련 부정행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대형업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실제로 페퍼저축은행의 경우, 작년 2월 장매튜 대표가 자녀 학자금을 이중으로 지급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금융당국으로부터 과태료 1200만원, 과징금 1억4000만원의 처분을 받았다. 최근 KB저축은행에선 기업여신팀장이 수십억원대의 은행 자금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되기도 했다.
성추행 관련 이슈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작년 말, 한국투자저축은행에선 상무급 임원이 하급 여직원에게 뽀뽀를 요구하고 화장실에서 덮치는 등 성추행을 일삼는 황당한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해당 임원에 대한 처벌은 고작 3개월 정직에 그쳤고, 현재 피해 여직원은 퇴사했다.
무엇이 됐든 건전성 관련 문제가 꾸준히 벌어지고,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는 관행은 바로잡아야 한다. 이 부분이 안정권에 접어들어야만 당국으로부터 규제 완화 등의 추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건 너무나 당연한 수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