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은 이날 도내 예술인의 생활을 들여다보고 실질적인 정책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2021년 8월 31일부터 12월 5일까지 실시한 '경기도 예술인·예술단체 전수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보고서에는 경기도 예술인의 거주 및 활동 지역 분포는 물론 생활과 창작 여건, 지역·장르 별 실태까지 향후 도 문화 정책의 기반이 될 예술 현장의 목소리를 담겼으며 총 4196명의 예술인과 407개의 예술단체가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예술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은 고양(9.9%)이며 수원 8.5%, 부천 7.6%, 화성 7.5%, 용인이 7.2%로 그 뒤를 이었고 예술단체의 경우 부천시 소재가 9.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수원(9.6%), 고양(7.6%), 의정부(7.4%) 소재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보고서는 도에서 예술 활동을 하며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30.6%가 ‘창작을 위한 최저 생계비용 부족’을 꼽으며 소위 말하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고 두번째로는 ‘예술 지원금 부족(21.4%)’이 제시, 다음으로 ‘예술분야의 안정적 일자리 부족’(18.5%)이라고 응답했다고 적고 있다.
재단은 이번 보고서를 도내 기초문화재단을 포함한 문화예술 관련 기관에 배포될 예정이며 향후 경기도형 예술인 지원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하기로 했다.
재단 관계자는 “수집한 데이터와 의견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예술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 예술인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