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인플레 따라잡으려 고군분투하는 연준, 미국 경제 발목 잡을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혜원 기자
입력 2022-02-13 17: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미국에서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수십년래 고점으로 치솟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세)을 잡아야 한다는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 실수를 저지르면서 경기 침체를 불러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12일(이하 현지시간) 분석했다.

미국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7.5% 올라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고 10일 밝혔다. CPI는 이미 지난 2021년 3월 전년 대비 2.6% 올라 연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 2%를 넘긴 뒤 5월에는 5%대로, 10월에는 6%대로 치솟으며 지난해 12월부터는 7%도 넘겼다.

블룸버그는 점점 더 많은 제품들의 가격이 높아지는 것 역시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이후 급격한 경제 재개로 인한 유가 상승이 물가 상승을 초기에 이끌었을지 몰라도, 현재는 전반적인 상품들의 가격이 모두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CPI가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품들 중 약 90% 이상의 가격이 연준 목표치 2%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비드 윌콕스 미국 경제 연구 책임자는 "이는 더 큰 우려의 원인이 된다"라며 "인플레이션 심리가 고착화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미국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 역시 우려 대상이 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지속적인 실질 임금이 인플레이션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실업률이 4%에 지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임금 인상이 계속되면 물가와 임금이 서로를 끌어올리며 물가 상승이 더욱 장기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AP·연합뉴스]



이처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전방위로 확대하면서 연준이 강력한 정책을 통해 물가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다만 블룸버그는 연준이 이러한 압박에 과도한 긴축 정책을 펼칠 경우, 매우 완화적인 통화 정책에 익숙해져 있던 금융 시장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게다가 물가가 높아진 상황에서 사회적 투자를 통한 경제 재건을 주장하는 바이든 대통령의 핵심 전략인 '더 나은 재건' 정책 역시 통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역시 경기에 불리한 변수로 부상했다.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시절 백악관에서 근무한 로렌스 린지 전 연준 이사는 미국 금융시장이 붕괴하며 내년 말까지 경기가 침체할 가능성이 50% 이상이라고 이날 블룸버그에 말했다. 그는 "정책에서 실수가 나올 경우, 무거운 짐을 지게 될 것"이라며 이미 연준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 늦었다고 밝혔다. 로렌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 역시 이러한 시각에 동의했다. 그는 "향후 30개월 이내에 경기 침체가 시작될 가능성이 50%"라며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하고 뒤쳐졌다"라고 말했다.

높은 인플레이션에 연준이 3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수 있다는 의견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13일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을 0.3%로, 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을 93.8%로 반영하고 있다. 한 달 전인 1월 13일에는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79.0%로, 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3.0%에 불과했다. 

블룸버그는 금리 인상에 더불어 대차대조표 축소 역시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나 마틴 아담스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수석 증시 전략가는 "주식 시장이 대차대조표 축소에 대한 위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라며 "시장은 겨우 이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난다고 해도 이를 막기 위해 정부가 재정 정책을 도입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민주당 내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부양책인 '더 나은 재건' 정책을 반대하며 법안 통과를 어렵게 하고 있는 조 맨친 상원의원은 40년래 고점을 기록한 1월 CPI 발표 이후 다시 성명을 내며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현실적이고 심각한 경제적 고통을 야기하고 있다"라며 "의회와 행정부는 이미 불타고 있는 경제에 기름을 더 붓기 전에 충분히 고려를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