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과기정통부, 올해 클라우드 사업에 979억 투자…전년비 23%↑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민철 기자
입력 2022-02-14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5일 클라우드 사업 통합설명회 온라인 개최

[사진=아주경제 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에 따라 올해 979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사업 예산을 투입한다. 전년 대비 23% 늘린 예산 규모로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오는 15일 온라인으로 2022년도 클라우드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설명회는 네이버TV, 유튜브, 카카오TV에서 '클라우드 지원사업 온라인 통합설명회'로 검색된 채널을 구독하면 참여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70억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 40개 기관을 위한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을 지원한다. 이는 중앙정부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할 수 있도록 기술 기반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용 선도사업'으로 6개 기관에 33억원이 지원된다. 이는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해 업무 생산성 향상, 대민 서비스 혁신 등의 모범사례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기존 1년 단기 지원(4억원 이내) 사업에 더해, 2년 이상 중장기 지원(10억원)을 하는 선도 사업이 신규 추진된다.

'공공 이용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개발 지원' 사업으로 20건의 SaaS 개발에 80억원이 지원된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인프라 기업이 협력해 공공 부문에 수요가 높은 SaaS를 개발하고 검증해 공공부문에 필요한 보안인증 획득과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연계까지 돕는 사업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클라우드 바우처 지원' 사업으로 600여개 기업에 111억원이 지원된다. 이는 사업자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전환비용, 이용료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작년 기업 당 이용료 지원 규모는 1550만원이 최대였는데 올해부터 기업 당 최대 5000만원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 신설돼 10개 기업이 지원받게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과 인프라 기업이 협력하는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된 5개 분야 50개 서비스에 250억원이 지원된다. 올해 디지털워크, 디지털헬스, 지능형물류, 스마트제조, 환경·에너지 등 분야별 유망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발, 사업화, 확산이 지원된다.

'글로벌 SaaS 육성 프로젝트(GSIP)'는 올해 중소기업 12개사를 대상으로 선도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한 SaaS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데 55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클라우드 최적화 SaaS 플랫폼 등 차세대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214억원, 클라우드 보안서비스 개발 지원에 12억원이 지원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클라우드는 인공지능 기반 산업 혁신을 촉발하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공공 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활성화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