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18/20220218160421159352.jpg)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뉴스통신사 교류협력체 '아태뉴스통신사기구'(OANA)의 의장사인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 서면인터뷰를 한 후 사진 촬영에 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부정 평가 이유에 ‘대선 개입’이 새롭게 등장해 눈길을 끈다.
여론조사 전문기업 한국갤럽은 지난 15~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7명에게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 평가를 조사한 결과, 40%가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53%는 부정 평가했다고 18일 밝혔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문 대통령의 직무 긍·부정률은 두 달째 비슷한 수준이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20대) 25%·63%, 30대 41%·53%, 40대 60%·38%, 50대 46%·50%, 60대 32%·65%, 70대 이상 30%·54%였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부동산 정책’(23%), ‘코로나19 대처 미흡’(12%)이 뒤를 이었다. 대선 개입(2%)도 처음으로 부정 평가 이유로 꼽혔다.
이는 지난 9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적폐 수사’ 발언 및 다음날(10일) 이에 대한 문 대통령의 ‘분노’와 ‘사과 요구’까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4.1%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