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3/15/20220315152334422326.jpg)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사진=아주경제]
윤 당선인은 대출규제 완화 관련 공약으로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최대 80%까지 높이는 안을 제시했다. LTV는 은행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할 때 적용하는 주택가격 대비 최대 대출비율이다. 예를 들어, 가격이 3억원인 아파트를 구매할 때 LTV가 60%라면 최대 1억8000만원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LTV를 올리면 자금여력이 부족한 이들이 더 많은 대출을 받을 수 있고, 그만큼 주택을 매수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커진다.
대출규제 완화 방안에는 투기과열 지역에 따라 최소 20%에서 70%까지 적용되는 LTV를 70%로 통일하는 안이 공약에 포함됐다. 다주택자의 경우 보유 주택 수에 따라 LTV 상한을 30%, 40%로 차등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신혼부부와 청년층을 대상으로 각각 최대 4억원, 3억원 한도의 주택담보대출을 저리로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3/15/20220315221953169830.jpg)
[그래픽=김효곤 기자]
그러나 올해 주요국이 물가가 과도하게 오르는 현상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고, 한국은행도 이에 발맞춰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새 정부가 가계대출을 크게 늘릴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5~16일(현지시간)에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전망이다. 연준은 앞서 신규 자산매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김은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DSR 규제가 수정·완화될 수 있지만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고, 금리 상승기이기 때문에 크게 완화되어 적용되기는 쉽지 않다”며 “대출규제 완화가 신규 대출증가로 이어질 여지는 있지만 대출증가율을 급격히 바꾸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