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농식품부는 “그동안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개 식용 종식이 시대적 흐름이라는 인식에 공감대를 이루는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추가적인 논의를 위해 위원회 운영을 2개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사회적 논의기구인 위원회는 관련 동물보호단체, 육견업계, 전문가, 정부 인사 등 21명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4월까지 전체회의와 소위원회 회의를 각각 7회씩 개최하며 개 식용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해왔다.
그동안 위원회는 운영 초기부터 개 식용 문제에 대해 이해관계자 등 참여자들 간에 입장 차이가 커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에 중점을 두어 운영했다. 특히 식용 목적 개 사육 현황 등을 조사해 식용 목적 개 관련 첫 통계 자료를 제작했으며 개 식용 관련 국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갈등관리 전문기관을 통해 참여 위원과 관련 업계 종사자 등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종식시기, 지원방안 등 그들의 관심 사항과 대립하는 입장을 파악했다.
정광호 위원장은 “위원회 운영의 기본 원칙인 합의 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육견업계와 동물보호단체 등의 입장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등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논의하는 방식으로 위원회를 운영했으며, 개 식용 종식이 시대적 흐름이라는 인식을 같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