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EY한영]
9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에 따르면, 국내외 대다수 CEO는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투자 및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EY는 이 같은 결과를 담은 ‘EY 2022 CEO Outlook Survey’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세계 기업 CEO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 세계 M&A 현황 및 전망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M&A 시장은 거래 건수와 금액 측면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에만 총 5359건의 거래가 성사되었으며, 거래 금액은 총 5조4452억 달러(약 6777조원)에 달했다. 국내 M&A 시장의 거래 금액도 전년 대비 21% 상승한 약 477억 달러(약 59조원)를 돌파해 역대 최대 호황을 누렸다.
역대급 활황이었던 2021년 국내외 M&A 시장의 열기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CEO 72%는 올해에도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49%였던 전년 대비 23%포인트 대폭 상승한 수치이며, 지난 10년간 집계된 동일 질문의 응답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또한 글로벌 평균 응답인 59%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평균 응답인 54%에 비해 국내 CEO가 올해 M&A 추진에 훨씬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M&A 추진 계획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면서 국내 M&A 시장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M&A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에 국내 응답자는 △적대적, 경쟁적 입찰의 증가(26%), △크로스섹터(이종산업 간 거래) 증가(25%), △사모펀드(PE) 주도의 인수 증가(18%), △규제 또는 정부 개입 증가(17%),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 증가(14%)를 꼽았다. 글로벌 응답자도 이와 유사한 응답 수준을 보였다.
최재원 EY한영 EY-파르테논 부문장은 “지난해 국내외 M&A 시장이 최대 호황을 누린 가운데, 올해 기업들은 최근 인수한 자산을 통합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기업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 인수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M&A 시장 경쟁이 점점 더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 CEO들은 단기 성장이 아닌, 장기 성장과 가치를 고려한 인수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