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기록했던 M&A 시장, 올해도 성장 전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준호 기자
입력 2022-05-09 13: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EY한영 '2022 CEO Outlook Surevey' 발표··· CEO 72% "올해 M&A 적극 추진"

[그래픽=EY한영]

지난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인수합병(M&A) 시장의 성장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국내 최고경영자(CEO)들은 다른 지역 CEO들보다 더욱 M&A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산업 재편에 가속도가 붙은 가운데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M&A 전략이 각광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9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에 따르면, 국내외 대다수 CEO는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투자 및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EY는 이 같은 결과를 담은 ‘EY 2022 CEO Outlook Survey’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세계 기업 CEO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 세계 M&A 현황 및 전망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M&A 시장은 거래 건수와 금액 측면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에만 총 5359건의 거래가 성사되었으며, 거래 금액은 총 5조4452억 달러(약 6777조원)에 달했다. 국내 M&A 시장의 거래 금액도 전년 대비 21% 상승한 약 477억 달러(약 59조원)를 돌파해 역대 최대 호황을 누렸다.

역대급 활황이었던 2021년 국내외 M&A 시장의 열기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CEO 72%는 올해에도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49%였던 전년 대비 23%포인트 대폭 상승한 수치이며, 지난 10년간 집계된 동일 질문의 응답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또한 글로벌 평균 응답인 59%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평균 응답인 54%에 비해 국내 CEO가 올해 M&A 추진에 훨씬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응답자의 절반 수준인 43%가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 위한 동종업계 소규모 M&A를 뜻하는 볼트온(bolt-on) 인수를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운영 역량 강화(36%), 기술, 인재, 신규 생산 역량 인수 또는 스타트업 인수(9%)가 그 뒤를 이었다. 향후 인수 대상 상위 5개 국가로 대한민국(32%), 중국(25%), 독일(14%), 미국(12%), 인도(8%)를 지목했다. 또한 가장 활발하게 M&A가 이뤄질 국내 업종으로는 제조, 금융 서비스, 자동차·운송 산업을 꼽았다. 

M&A 추진 계획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면서 국내 M&A 시장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M&A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에 국내 응답자는 △적대적, 경쟁적 입찰의 증가(26%), △크로스섹터(이종산업 간 거래) 증가(25%), △사모펀드(PE) 주도의 인수 증가(18%), △규제 또는 정부 개입 증가(17%),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 증가(14%)를 꼽았다. 글로벌 응답자도 이와 유사한 응답 수준을 보였다.

최재원 EY한영 EY-파르테논 부문장은 “지난해 국내외 M&A 시장이 최대 호황을 누린 가운데, 올해 기업들은 최근 인수한 자산을 통합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기업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 인수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M&A 시장 경쟁이 점점 더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 CEO들은 단기 성장이 아닌, 장기 성장과 가치를 고려한 인수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