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21/20220821082626751405.jpg)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 전경 [사진=경기도]
도에 따르면 이번 지원은 도가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난 19일 실시한 응급복구비 수요조사에 따른 것으로 조사 결과 24개 시·군에서 84억원 상당의 응급복구비를 추가로 요청해 이뤄졌다.
이번에 투입되는 84억원은 정부로부터 확보한 재난안전특별교부세 20억원과도 재난관리기금 64억원 등을 활용한다.
도는 특별교부세 20억원을 광주·양평·여주에 각 5억원, 화성·성남·안산·시흥에 각 1억원, 양주에 5000만원씩 전달할 예정이며 남한산성 공원시설 응급복구에도 5000만원을 배정했다.
앞서 도는 지난 16일 1차로 응급복구비 26억원을 31개 시군에 지원한 적이 있으며 이번 84억원은 1차 응급복구비와 별개로 추가로 지원되는 예산이어서 이번 호우 피해 응급복구에 소요되는 예산은 총 110억원이 될 전망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시·군별로 파악된 응급복구 예산을 최대한 빠르게 지급해 피해복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라”며 “수해를 당한 도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서도 재난지원금 신속 지급 등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정부가 지난 17일 자로 수도권에 집중된 폭우에 따른 재해를 종료함에 따라 18일부터 수해 피해조사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조사는 시·군 읍·면·동이 맡게 되며 공공시설은 오는 24일까지, 사유 시설은 27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도는 이 밖에 피해 규모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시·군 피해조사의 허위·과장·누락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지난 18일부터 조사단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