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포항시에 따르면 ‘신규 자원순환 종합타운’은 오는 2025년까지 입지를 선정하고, 2034년까지 조성을 완료해 2035년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현재 포항시에서 발생하는 가연성폐기물(종량제봉투)은 생활폐기물에너지화 시설에서 소각해 전력을 생산하고, 타고 남은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은 호동2매립장에 매립하고 있으나, 2034년에 사용이 종료됨에 따라 새로운 폐기물처리시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포항시에서는 소각시설(600톤/일), 매립시설(130만㎡), 재활용선별시설(135톤/일), 음식물자원화시설(240톤/일) 등을 집적화시켜 효율성을 높이고 대규모 상업시설 또는 관광위락시설, 스마트팜 등의 주민지원사업을 함께 개발해 포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할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소득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신규 자원순환 종합타운 조성 시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님비현상 해소를 위해 입지 공모 전 읍면동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고 여러 계층의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민간자문단 활동을 통해 시민 공감대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각종 위원회 구성 시 지역 주민 참여를 최대한 확대하고 설명회 및 공청회를 수시로 개최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뿐만 아니라 입지 선정 과정을 홈페이지 등에 공개해 입지 선정 과정의 투명성도 확보한다.
또한 관련법에서 규정한 최고 수준의 주민 편익 시설 설치와 주민지원사업 시행으로 입지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는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국내외 선진지 견학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주민 불안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고원학 포항시 환경국장은 “신규 자원순환 조성타운 조성사업은 10년 이상 소요되는 장기간의 사업으로 현재 사용 중인 시설 사용 종료 후 생활폐기물 처리에 차질이 없도록 지금부터 철저하게 준비해 최적의 입지를 선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포항시에는 현재 일 평균 289톤의 생활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241톤/일은 생활폐기물에너지화 시설에서 소각하고, 소각재 및 불연성폐기물 146톤/일은 매립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