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이 5년에 걸친 연구·개발(R&D)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전선 소재 기술이 국가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
22일 한화솔루션에 따르면 ‘EBA(Ethylene Butylacrylate Copolymer)를 적용한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반도전 소재 제조 기술’이 22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수여하는 ‘NET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반도전은 전력케이블에서 주변에 미치는 전기력을 차단하고 방전을 막는 역할을 한다. 반도전 소재의 6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EBA는 섭씨 300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보유하고 있다. 110kV(킬로볼트) 이상을 송전하는 초고압 전선의 손상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반도전은 기술 장벽이 높은 고부가 소재다. 전 세계적으로 보레알리스, 다우 등 소수의 기업만 생산해왔다. 여기에 한화솔루션이 지난 2분기부터 자체 기술로 개발한 EBA 반도전 소재의 상업 생산을 개시한 것이다.
연산 4만t 규모의 EBA 생산설비를 보유한 한화솔루션은 3000t 규모의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 점유율도 늘려나갈 방침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국내 산업계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 소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에 주력해 소재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2일 한화솔루션에 따르면 ‘EBA(Ethylene Butylacrylate Copolymer)를 적용한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반도전 소재 제조 기술’이 22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수여하는 ‘NET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반도전은 전력케이블에서 주변에 미치는 전기력을 차단하고 방전을 막는 역할을 한다. 반도전 소재의 6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EBA는 섭씨 300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보유하고 있다. 110kV(킬로볼트) 이상을 송전하는 초고압 전선의 손상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반도전은 기술 장벽이 높은 고부가 소재다. 전 세계적으로 보레알리스, 다우 등 소수의 기업만 생산해왔다. 여기에 한화솔루션이 지난 2분기부터 자체 기술로 개발한 EBA 반도전 소재의 상업 생산을 개시한 것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국내 산업계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 소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에 주력해 소재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2/20220922103411750742.png)
한화솔루션이 생산하는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EBA 반도전 소재 [사진=한화솔루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