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금감원, 은행권 거액 해외송금 추가 포착..."12개 은행서 10조원 규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명섭 기자
입력 2022-09-22 11: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간 검사결과 발표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우리은행, 신한은행 외에 10개 시중은행에서도 거액의 외환송금 의심사례가 추가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수상한 외화송금' 전체 규모는 10조원을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은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이상 외환송금 거래가 있었는지 검사한 결과, 12개 은행에서 이상 외환송금 사례가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혐의업체는 82개(중복 제외), 송금 규모는 72억2000만 달러(약 10조1700억원)다. 이는 지난달 14일 금감원이 발표한 65억4000만 달러 대비 6억8000만 달러 증가한 수치다. 업체 수 또한 65개에서 17개 더 늘었다.
 
거래 구조는 우리은행, 신한은행에서 드러난 사례와 유사했다.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로부터 이체된 자금이 국내 법인 계좌를 거쳐 해외로 송금되는 구조였다. 금감원은 해외 지급결제업자가 국내에서 송금된 외화자금을 수취해 정상적인 수출입거래로 보기 어려운 사례도 일부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과 사정당국은 국내 코인 가격이 해외보다 높은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투기 세력이 개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82개 회사 중 3억 달러 이상을 송금한 업체는 5개, 1~3억 달러를 송금한 업체는 11개, 5000만 달러에서 1억 달러는 21개, 5000만 달러 이하 송금 업체는 45개였다.
 

주요 이상 외화송금 거래 구조도[사진=금융감독원]

송금 업체 업종은 상품종합 중개·도매업이 18개(22%)로 가장 많았고, 여행 관련업은 16개(19.5%), 화장품·화장용품 도매업 10개(12.2%)였다. 송금된 국가 중 홍콩이 51억8000만 달러(71.8%)로, 다른 국가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일본 11억 달러(15.3%), 중국 3억6000만 달러(3억6000만 달러) 순이었다.
 
개별 은행별로는 신한은행이 23억6000만 달러로 송금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우리은행(16억2000만 달러), 하나은행(10억8000만 달러), KB국민은행(7억5000만 달러) 순이었다. 금감원은 12개 은행에 대한 검사를 10월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검사 결과 외국환업무 취급 등 관련 준수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은행에 대해서는 법률 검토 등을 거쳐 관련 법규, 절차에 따라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며 “검사를 통해 이상 외화송금 혐의 거래 등이 추가로 확인되는 경우 유관기관과 신속히 정보 공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