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경기북부 양주·포천지역의 숙원인 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옥정~포천 광역철도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의 연장선인 도봉산~포천의 2단계 사업으로, 양주 고읍동에서 포천 군내면을 잇는 17.1㎞ 구간에 건설된다.
이 구간에는 양주 1곳, 포천 3곳 등 정거장 4곳과 차량기지 1곳이 설치된다.
경기도는 오는 2024년 사업계획 승인 및 착공해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한다.
특히 기간을 단축하고자 설계·시공 일괄입찰(Turn-key) 방식 추진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입찰 방법 심의, 계약심의 등 입찰공고를 위한 사전 행정절차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기본계획 승인은 정부의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예타 면제 사업으로 선정된 지 2년 9개월 만에 이뤄졌다.
이 사업은 당초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돼 추진이 어려웠지만, 양주·포천지역 주민과 지역 국회의원의 노력으로 2019년 1월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대상으로 선정돼 추진이 확정된 바 있다.
2020년 4월 기본계획 용역 착수 이후 직결에서 환승으로 사업계획이 변경돼 지역 주민과의 갈등도 있었다.
또 사업비 증액에 따른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등 어려운 상황에도 직면한 바 있다.
하지만 경기도는 설명회를 여는 등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사업 변경의 이점을 이해시켜 공감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대광위, 기획재정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이같은 성과를 이끌어냈다.
옥정~포천 광역철도는 철도 인프라가 전무했던 포천에 최초로 건설되는 철도다.
개통되면 지역 도민들의 서울 접근성이 높아지고, 만성적인 정체를 겪고 있는 국도 43호선의 혼잡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역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경기도는 전망했다.
앞으로 경원선·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과 연계한 수도권 간선철도망 확충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구자군 경기도 철도건설과장은 "계획 수립 과정에서 많은 난관이 있었지만 지역 주민과 국회의원의 도움, 중앙정부의 협조로 경기도가 입안한 대로 기본계획을 확정 지을 수 있었다"라며 "지역의 오랜 염원이 담긴 사업인 만큼, 책임감을 갖고 속도감 있게 추진해 적기 개통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