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연경燕京의 우정' 전시 개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 기자
입력 2022-10-18 10: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 동아시아 상생·화해 도모

  • '만남의 공간, 연경 유리창' 등 모두 6부로 구성돼

 '연경의 우정' 포스터  [사진=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18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18~19세기 한중 지식인들의 국경을 뛰어넘은 우정을 주제로 기획한 특별전 '연경燕京의 우정'을 개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 '연경의 우정'은 조선 후기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진 한중 지식인들 간의 현실 인식과 우정을 통한 문화적 소통을 배움으로써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21세기 동아시아의 상생과 화해를 도모하고자 기획됐다. 
 
전시는 1부 ‘만남의 공간, 연경 유리창’을 시작으로 2부 ‘홍대용과 엄성의 천애지기’, 3부 ‘북학파, 중국에 알려지다’, 4부 ‘한류의 선봉, 초정 박제가’, 5부 ‘추사 김정희, 60일의 여정과 학술 외교’, 6부 ‘19세기 청조 문인과 조선’ 등 총 6부로 구성됐다. 

1부 ‘만남의 공간, 연경 유리창’은 중국에 간 실학자들이 연경 유리창에서 만난 중국 문인들과 나누었던 필담을, 2부 ‘홍대용과 엄성의 천애지기’는 1766년 연행단의 일원으로 연경에 갔던 33살의 젊은 홍대용이 그해 2월 초 35살의 엄성과 그 친구들을 연경 유리창에서 처음 만나 필담을 나누며 서로 끌리어 죽을 때까지 천애지기의 우정을 나눈 이야기를 각각 소개한다.
 
또 3부 ‘북학파, 중국에 알려지다’에서는 18세기 조선 최고의 시 짓기 모임이었던 백탑시사 문인들로 구성된 사가시인(四家詩人)의 시가 중국 사절단으로 방문한 유금을 통해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져 높은 평가를 받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뤘으며 4부 ‘한류의 선봉, 초정 박제가’는 한중 지식인 네트워크의 정점에 섰던 초정 박제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또한 5부 ‘추사 김정희, 60일의 여정과 학술 외교’는 박제가의 인적 네트워크가 19세기 추사 김정희와 신위, 이상적 등으로 이어져 금석학 등 학술 교류로까지 확장된 내용을 다뤘으며 추사는 당대 최고의 대학자였던 옹방강과 완원을 만나 이후 지속된 교류를 통해 명실상부 ‘청조학(淸朝學) 연구의 제일인자’로 거듭날 수 있었다.
 
아울러 6부 ‘19세기 청조 문인과 조선’에서는 19세기 청나라 문인들과 조선 지식인 간에 주고받은 글과 그림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된 한중 문화 교류의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본다.
 
정성희 실학박물관 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조선후기 한중 지식인의 문화 교류에 최일선에 있었던 실학자들의 국제적 문화 수준과 우정을 조명해 봄으로써 30주년을 맞이하는 한중 수교를 되짚어보고 오늘날 실학의 가치를 좀더 가깝게 느끼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전시는 이날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운영되며 이 기간 중에는 실학자들의 후손들과 함께 실학관련 여행을 했던 '실학패밀리 10주년 기념 연행사진전'과 박물관 추억을 간직할 수 있는 '실학흑백사진관’ 체험 부스도 함께 운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