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8일 오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28/20221028130403118518.jpg)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8일 오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이명박 정부 시절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신설을 주도했던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28일 "자사고가 서열화로 이어진 부작용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동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부분을 계속 보완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자사고를 대거 확대하는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를 만들어 시행했다.
그는 "자사고를 처음 디자인할 때는 사회적 배려자들에게 기회를 주고, 자사고로 절약한 재원은 지역 공립고교에 투자하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화 정책은 고교 평준화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면서 "다양화 정책에 문제가 나오면 다음 방향은 개별화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개편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초·중등교육 재원을 일방적으로 깎아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밝혔다.
이 후보자는 "초·중등 교육교부금이 지난 몇 년간 불균형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면서도 "초·중등교육이 지금 격변기이고 많은 변화가 필요한 만큼 관련 예산이 위축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