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12/20221212151420987261.png)
[사진=인천시]
이날 협의회에는 인천시교육청, 보건환경연구원, 군·구 및 위생단체 등 26개 기관이 참여했다.
식중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예방관리와 식중독 발생시 확산방지 및 신속한 공조 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으며, 2022년 식중독 발생 현황 분석 및 문제점과 각 기관별 2023년 식중독 예방관리를 위한 추진계획을 공유했다.
특히, 2023년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로 집단급식소, 뷔폐, 대형음식점 등의 식중독 발생을 대비해 △다소비 식품관련 배달음식점 특별점검 △학교급식소등 집단급식소 위생관리 △계절별·사회적·이슈별 위생관리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운영 등 식품접객업소 및 집단급식소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할 예정이다.
강경희 시 위생정책과장은 “ 식중독은 계절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식중독 의심환자 발생시 관할 식중독 관리부서와 감염병 관리부서, 유관기관간의 신속한 대응체계로 확산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라며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