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가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3’에 참가해 글로벌 탄소감축에 기여하는 신에너지 기술을 선보인다.
SK E&S는 내달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3에 SK㈜,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등 7개 계열사와 함께 참가한다고 22일 밝혔다. SK그룹은 이번 전시회에서 ‘행동(함께, 더 멀리, 탄소 없는 미래로 나아가다)’을 주제로 전시관을 공동 운영한다.
지난 1월에 이어 두 번째로 CES에 참가하는 SK E&S는 수소, 에너지솔루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탄소감축 솔루션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우선 미국 플러그파워와 공동으로 수소연료전지 ‘젠드라이브’와 수소충전기 ‘젠퓨얼 디스펜서’의 실물을 전시한다.
지난 2월 13시간 24분 연속비행에 성공해 세계 최장 기록을 세운 액화수소 드론도 CES 2023에서 만나볼 수 있다. 액화수소는 기체 상태의 수소보다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고 안정성도 뛰어나다. 액화수소 드론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드론보다 최대 26배, 기체수소 드론보다 6배 이상 오래 비행할 수 있다.
또 올해 3월 인수한 미국 전기차 충전기업 에버차지의 가정용 전기차(EV)충전기 ‘코브(COVE)’를 최초 공개한다. 이 충전기는 건물 전체의 전력 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패턴 분석을 통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타사 대비 약 5배까지 충전기 설치·운영이 가능하다.
SK E&S는 CES 2023을 통해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CCUS도 소개할 계획이다. 회사는 호주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로사 가스전 개발사업에 CCS 기술을 접목해 천연가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제거할 방침이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블루수소 생산에도 CCS를 적용한다는 전략이다.
SK E&S 관계자는 “SK E&S는 향후 수소, 에너지솔루션, LNG 등 다양한 에너지 사업에서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효과적인 탄소감축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저탄소 기반 사업모델을 지속해서 강화해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K E&S는 내달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3에 SK㈜,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등 7개 계열사와 함께 참가한다고 22일 밝혔다. SK그룹은 이번 전시회에서 ‘행동(함께, 더 멀리, 탄소 없는 미래로 나아가다)’을 주제로 전시관을 공동 운영한다.
지난 1월에 이어 두 번째로 CES에 참가하는 SK E&S는 수소, 에너지솔루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탄소감축 솔루션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우선 미국 플러그파워와 공동으로 수소연료전지 ‘젠드라이브’와 수소충전기 ‘젠퓨얼 디스펜서’의 실물을 전시한다.
지난 2월 13시간 24분 연속비행에 성공해 세계 최장 기록을 세운 액화수소 드론도 CES 2023에서 만나볼 수 있다. 액화수소는 기체 상태의 수소보다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고 안정성도 뛰어나다. 액화수소 드론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드론보다 최대 26배, 기체수소 드론보다 6배 이상 오래 비행할 수 있다.
SK E&S는 CES 2023을 통해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CCUS도 소개할 계획이다. 회사는 호주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로사 가스전 개발사업에 CCS 기술을 접목해 천연가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제거할 방침이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블루수소 생산에도 CCS를 적용한다는 전략이다.
SK E&S 관계자는 “SK E&S는 향후 수소, 에너지솔루션, LNG 등 다양한 에너지 사업에서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효과적인 탄소감축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저탄소 기반 사업모델을 지속해서 강화해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