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에서 열린 면세 사업자 설명회에 국내외 면세점들이 대거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세 번 유찰된 것과 대조적이다. 현장 설명회는 업계 관심도를 반영하는 만큼 입찰 흥행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설명회에 참여한 업체는 롯데·신라·신세계·현대 등 국내 대기업 4곳을 비롯해 중소·중견 사업자 7곳이 참여했다.
눈에 띄는 점은 글로벌 면세점업체들이 참여했다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면세점 1위인 CDFG와 현재 김해국제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 중인 듀프리토마스쥴리면세점(이하 듀프리)도 해당 설명회에 참여해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입찰 전 분위기가 반전된 것은 인천공항공사 측 태세 전환이 한몫했다. 지난달 29일 인천공항은 제1여객터미널·탑승동·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입찰공고를 게시하면서 입찰 방식을 대폭 바꿨다.
입찰 사업권은 기존 15개에서 7개로 통합해 사업권별 매장 규모를 확대했다. 임대료 산정 방식도 고정 임대료에서 여객당 임대료로 변경했다. 이번에 운영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한 것도 흥행 요인이다. 입찰에 실패하면 향후 10년간 인천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경쟁자가 늘어난 데다 입찰 방식이 달라지면서 업계 셈법은 더욱 복잡해졌다. 기존 셈법으로는 대폭 바뀐 입찰 방식에 맞춘 적정한 베팅 금액을 산정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일단 대기업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면세 구역은 DF1과 DF2다. 내국인 인기 품목인 주류와 담배, 향수와 화장품까지 판매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향수와 화장품은 전통적인 면세 효자 품목으로, 고환율로 인해 최근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지만 영업 기간이 10년인 점을 감안하면 매력도는 상승한다.
여객당 임대료는 고민거리다. 인천공항 측은 최근 들어 여객 수가 회복세인 점을 고려해 임대료를 책정해야 한다는 방침이지만 업체들은 여객 수 증가가 곧 면세점 매출 증가로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실제 지난해 인천국제공항 하루 최대 여객은 지난달 18일 기준 12만4047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하루 평균 여객(20만명)과 비교하면 아직까지 62% 수준에 그친다.
더욱 큰 문제는 일본과 동남아 지역 승객이 전체 이용객 가운데 52%(총 931만1395명)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두 지역 이용객은 사실상 면세점 객단가가 낮아 실적 회복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면세점업계 큰손은 중국 다이궁(보따리상)이지만 중국의 한국인 단기비자 발급 중단 등으로 발이 묶인 상황이다. 다이궁이 국내 면세점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90%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인천공항 입찰 사업권 구성이 대폭 바뀌면서 업체들 간 눈치싸움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번엔 과거와 같은 유찰 사태는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