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텔과 퀄컴의 투자 부문을 비롯한 미국 투자사들이 중국 인공지능(AI) 기업들에 막대한 금액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현지시간) 미 조지타운대 유망기술·안보연구소(CSET)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체결된 중국 AI 기업들에 대한 투자 가운데 약 17%(건수 기준)가 미국 투자자들에 의해 이뤄졌다.
167개에 달하는 미국 투자자들이 410건의 거래에 참여했다. 이는 해당 기간 이뤄진 전체 투자의 약 17%다. 금액으로 보면 약 402억 달러(약 49조원) 이상으로, 전체 투자액의 37%에 달했다. 다만 보고서는 미국 기업의 투자 비중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퀄컴벤처스와 인텔 캐피탈은 중국 AI 기업들에 각각 13건과 11건을 투자했다. 골드만삭스는 AI 기반 로봇 회사인 1KMXC에 투자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보고서는 AI, 퀀텀 그리고 반도체에 대한 미국 투자에 대한 감시가 증가하는 가운데 발표됐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일부 중국 기술 산업에 대한 미국의 투자를 억제하기 위한 행정 명령을 연내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백악관 내 대중국 강경론자들은 미국의 자본과 첨단 기술 노하우가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면, 중국의 첨단 군사 능력이 발전해 미국 안보를 위협하기 때문에 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부 미국 투자사들은 미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중국 AI 기업들에 투자했다. 미국 투자사인 GSR벤처스는 중국의 아이플라이텍(IFlytek)이 블랙리스트에 오른 뒤 해당 회사에 투자를 결정했다. 실리콘 밸리 뱅크와 완샹 아메리칸 헬스케어(Wanxiang American Healthcare) 투자사 역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센스타임이라는 중국 AI 기업에 투자했다. 이들 중국 AI기업들은 지난 2019년 위구르 탄압과 관련한 인권 침해 혐의로 미국으로의 기술 수출을 금지하는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바 있다.
다만, CSET는 미국 투자를 받은 중국 AI 회사 가운데 단 한 곳만 군사 관련 AI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