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경기도교육청]
도교육청은 초‧중‧고‧특수학교에 외부 용역을 활용해 불법촬영 불시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월 조례 개정을 통해 점검범위를 화장실에서 학교 내 샤워실, 탈의실, 휴게실 등으로 확대했다.
또, 적발 위주의 점검에서 학교 자체점검, 유관기관 협력, 공동체 캠페인, 예방 연수 등 학교의 자발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16일 담당 부서, 교육부, 행정안전부와 함께 광명광덕초(학교장 전성화)를 방문해 불법촬영 근절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광명광덕초 전성화 교장은 “학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예방활동과 불법촬영 상시 점검체계를 구축해 안전한 학교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장인자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은 “교육활동이 정상화됨에 따라 안전하게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불법촬영에 대한 학교의 자발적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신 학교 관계자들께 감사드리며, 교육부, 시‧도교육청, 관계부처와 최선을 다해 학교 현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도교육청 서은경 생활인성교육과장은 “교육공동체 모두가 함께하는 불법촬영 예방 교육활동을 보며 불법촬영 근절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라며 “관련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IB 관심학교 운영으로 경기형 IB 프로그램 위한 초석 놓다

[사진=경기도교육청]
도교육청은 단편적 지식 암기와 출제자 의도에 맞는 정답 찾기 교육에서 벗어나 미래형 학습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탐구-실행-성찰’ 중심 수업과 이에 따른 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경기형 IB 프로그램’의 초석이 될 관심학교 25교를 선정하고 관심-후보-인증학교의 단계별 운영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궁극적으로는 관심학교 운영단계부터 지역과 교육과정의 다양성 및 학생 선택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경기형 IB 프로그램’의 구축 기반을 다져 나갈 계획이다.
관심학교는 학교 구성원이 IB 철학과 교육목표를 이해․공유하며 운영과제 실천에 노력하는 학교로, 신청한 59교 중 공정한 심사를 거쳐 총 25교(초 14교, 중 11교)를 선정했다.
주된 과제는 △학교장 및 업무담당자 IB 워크숍 필수 참여 △IB 탐색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및 학교교육활동 연계 방안 모색 △IB 본부 컨설턴트와 교육청 지원을 토대로 한 IB 후보학교 신청 준비 등이다.
후보학교는 전 세계 IB 학교에서 공유하는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해 IB 수업과 평가를 일부 설계․적용할 수 있고 IB 컨설턴트 방문 및 온라인 지원을 받으며 IB 인증학교를 신청할 수 있다.
인증학교는 IB 본부의 심사를 거쳐 최종 인증을 받은 학교로 IB 수업과 평가 전 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 가능하다.
도교육청은 관심학교를 시작으로 후보학교와 인증학교의 단계별 확대를 추진하고, 희망하는 학교가 IB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교원 실천 역량 강화를 목표로 △IB 국제공인 전문 강사 70명 양성 △대학 연계 IB 전문가(IBEC) 100명 양성 △미래교육 IB 학술회의(콘퍼런스)를 개최한다.
또한 교육공동체 공감대 확산을 위한 △설명회, 토론회 개최 △IB 프로그램 이해 연수 운영 △IB 프로그램 이해자료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도교육청 조영민 미래교육담당관은 “IB 관심학교 운영, 교원 실천 역량 강화, 공감대 확산을 중심으로 경기형 IB 프로그램의 운영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지역 특성 및 학교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반영한 IB 수업과 평가를 지원해 학생이 창의 비판적 역량을 키우고 글로컬 융합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