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아주경제]
올해 들어 문을 닫은 영세 건설사의 절반가량은 수도권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금·보증가능금액 등 미달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부실 건설사도 지난해보다 40% 이상 늘었다. 고금리와 집값 하락, 미분양 증가 등에 따라 자금 조달 환경이 악화한 탓이다.
17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이달 들어 폐업한 종합건설사는 총 20곳으로, 이 중 55%에 해당하는 11곳이 수도권에 위치한 건설사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이날까지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지난해 같은 기간 87곳 대비 60% 증가한 총 139곳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 건설사는 64곳으로, 전체의 46%에 달했다. 서울에선 25곳이, 경기는 30곳이, 인천 9곳의 종합건설사가 올해 들어 문을 닫았다.
전문건설사의 경우에도 올해 폐업신고를 한 941곳 가운데 수도권은 391곳으로 42%에 달했다. 서울에선 118곳, 경기는 222곳의 전문건설사가 폐업했다.
지난해까지 건설사 신규 개업이 급증한 데다 미분양 증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이 가속화하면서 자금 여력이 부족한 영세건설사들을 중심으로 폐업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택시장 침체로 규모가 큰 건설사들도 재무부담이 높아진 마당에 중소·영세업체들은 가장 먼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올해 개업 수는 전년 대비 줄었지만, 작년까지 개업한 건설사 수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개업한 종합건설사는 5623곳으로 전년(1465곳) 대비 284% 급증했다. 최근 3년간 개업 등록 건수도 2019년 1126건, 2020년 1354건, 2021년 1465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올 들어 이날까지 신규 등록된 종합건설사는 427건으로, 전년 동기 4284건의 10분의 1 수준까지 감소했다.
자금 부족, 보증가능금액 미달 등 건설업 등록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건설사도 대폭 늘었다. 올 들어 등록기준 미달로 영업정지 당한 종합건설사는 149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곳)보다 40% 증가했다. 건설사의 자본금과 기술인력, 사무실 등이 일정 기준에 못 미치면 등록기준 미달로 분류된다.
자금난에 시달린 중소 건설사들의 부도가 이어지면 건설시장뿐 아니라 금융권까지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의 자금난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부도업체가 나오고 있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며 "올 하반기부터는 건설사에 자금을 지원한 제2금융권 부실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정부의 보조 정책은 눈에 띄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결국은 시장 상황이 좋아져야 해결될 문제"라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중견건설사까지 법정관리에 들어가며 건설사 줄도산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109위 건설사인 대창기업은 지난 7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앞서 범현대가 중견 건설사인 HNInc도 주택경기 침체를 버티지 못하고 법인 회생 절차를 밟고 있고, 시공평가 83위 대우조선해양건설도 자금난 압박에 지난해부터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17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이달 들어 폐업한 종합건설사는 총 20곳으로, 이 중 55%에 해당하는 11곳이 수도권에 위치한 건설사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이날까지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지난해 같은 기간 87곳 대비 60% 증가한 총 139곳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 건설사는 64곳으로, 전체의 46%에 달했다. 서울에선 25곳이, 경기는 30곳이, 인천 9곳의 종합건설사가 올해 들어 문을 닫았다.
전문건설사의 경우에도 올해 폐업신고를 한 941곳 가운데 수도권은 391곳으로 42%에 달했다. 서울에선 118곳, 경기는 222곳의 전문건설사가 폐업했다.
올해 개업 수는 전년 대비 줄었지만, 작년까지 개업한 건설사 수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개업한 종합건설사는 5623곳으로 전년(1465곳) 대비 284% 급증했다. 최근 3년간 개업 등록 건수도 2019년 1126건, 2020년 1354건, 2021년 1465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올 들어 이날까지 신규 등록된 종합건설사는 427건으로, 전년 동기 4284건의 10분의 1 수준까지 감소했다.
자금 부족, 보증가능금액 미달 등 건설업 등록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건설사도 대폭 늘었다. 올 들어 등록기준 미달로 영업정지 당한 종합건설사는 149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곳)보다 40% 증가했다. 건설사의 자본금과 기술인력, 사무실 등이 일정 기준에 못 미치면 등록기준 미달로 분류된다.
자금난에 시달린 중소 건설사들의 부도가 이어지면 건설시장뿐 아니라 금융권까지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의 자금난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부도업체가 나오고 있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며 "올 하반기부터는 건설사에 자금을 지원한 제2금융권 부실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정부의 보조 정책은 눈에 띄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결국은 시장 상황이 좋아져야 해결될 문제"라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중견건설사까지 법정관리에 들어가며 건설사 줄도산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109위 건설사인 대창기업은 지난 7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앞서 범현대가 중견 건설사인 HNInc도 주택경기 침체를 버티지 못하고 법인 회생 절차를 밟고 있고, 시공평가 83위 대우조선해양건설도 자금난 압박에 지난해부터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