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배터리 소재 공급망과 생산 전략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 17일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LG화학 양극재 공장을 방문했다.
18일 ㈜LG는 구 회장이 권봉석 ㈜LG 부회장, 홍범식 ㈜LG 경영전략부문장(사장), 이향목 LG화학 양극재 사업부장(부사장) 등이 함께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구 회장은 청주공장 내 양극재 생산라인을 살펴본 뒤 생산 현황과 글로벌 공급망 전략 등을 점검했다.
청주공장은 LG화학 양극재 생산의 핵심 기지로 글로벌 생산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양극재는 배터리 생산 원가에서 40% 이상을 차지하며 배터리 용량, 수명 등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또 구 회장은 이날 현장에서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청주공장 구성원들을 격려했다.
그는 "양극재는 배터리 사업의 핵심 경쟁력 기반이자 또 다른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선도적 경쟁 우위를 지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을 점검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 변화에 능동적이고 선제적 대응하는 방안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주공장에서 연간 생산할 수 있는 양극재는 올해 기준 약 7만t(톤) 규모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500㎞ 주행 가능) 약 7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현재 청주공장 등 글로벌 생산라인에서 연간 12만t 규모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여기에 올해 완공 예정인 경북 구미 생산라인이 가동을 시작하면, 2024년에는 연 18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180만대의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아울러 LG화학은 글로벌 전기차 업체의 양극재 수요에 대응해 생산능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LG화학은 양극재를 포함한 전지소재 사업 매출을 지난해 약 5조원에서 2027년 약 20조원으로 4배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18일 ㈜LG는 구 회장이 권봉석 ㈜LG 부회장, 홍범식 ㈜LG 경영전략부문장(사장), 이향목 LG화학 양극재 사업부장(부사장) 등이 함께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구 회장은 청주공장 내 양극재 생산라인을 살펴본 뒤 생산 현황과 글로벌 공급망 전략 등을 점검했다.
청주공장은 LG화학 양극재 생산의 핵심 기지로 글로벌 생산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양극재는 배터리 생산 원가에서 40% 이상을 차지하며 배터리 용량, 수명 등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또 구 회장은 이날 현장에서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청주공장 구성원들을 격려했다.
이번 방문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을 점검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 변화에 능동적이고 선제적 대응하는 방안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주공장에서 연간 생산할 수 있는 양극재는 올해 기준 약 7만t(톤) 규모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500㎞ 주행 가능) 약 7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현재 청주공장 등 글로벌 생산라인에서 연간 12만t 규모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여기에 올해 완공 예정인 경북 구미 생산라인이 가동을 시작하면, 2024년에는 연 18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180만대의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아울러 LG화학은 글로벌 전기차 업체의 양극재 수요에 대응해 생산능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LG화학은 양극재를 포함한 전지소재 사업 매출을 지난해 약 5조원에서 2027년 약 20조원으로 4배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17일 LG화학 청주공장을 방문해 양극재 생산 핵심 공정 가운데 하나인 소성 공정 라인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