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사진=유대길 기자]
금융감독원이 키움증권을 비롯해 교보증권과 하나증권에 대한 차액결제거래(CFD) 현장 검사를 이달 중으로 마무리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키움증권, 교보증권, 하나증권을 대상으로 CFD 현장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들 모두 SG증권과 CFD 계약을 맺은 증권사들이다.
금감원은 지난 3일부터 키움증권에 대한 검사를 시작한 뒤 증권사에 대한 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금감원은 △개인 전문투자자 요건과 규정을 충실히 지켰는지 △고객 주문 정보를 이용했는지 △내부 임직원이 연루됐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다.
교보증권은 국내 CFD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 13곳 가운데 거래 규모와 잔액이 가장 큰 곳이다. 실제 지난 3월 말 기준 교보증권의 CFD 잔액은 6180억원이다. 올해 1~2월 CFD 거래대금도 1조835억원 수준이다.
교보증권은 싱가포르 증권사인 CGS-CIMB와 CFD 백투백 계약을 맺어 SG증권 사태에 큰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조사에서 교보증권이 SG증권과도 CFD 백투백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백투백 계약은 증권사가 개인 고객을 상대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과 동일한 조건으로 외국계 증권사와 거래를 맺는 것을 뜻한다. 증권사가 위험분산(헤지)을 위해 활용하는 계약이다.
하나증권 역시 SG증권과 CFD 백투백 계약을 2019년부터 맺은 곳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하나증권 CFD 거래 잔액은 3400억원이다. 올해 1~2월 하나증권 CFD거래대금은 3011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키움증권, 교보증권, 하나증권에 대한 CFD 검사를 진행 중에 있다"며 "사이즈가 얼마나 되고 혐의 계좌가 얼마나 추출되느냐에 따라 검사 기간과 증권사 등 수사를 확대해 나갈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키움증권, 교보증권, 하나증권을 대상으로 CFD 현장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들 모두 SG증권과 CFD 계약을 맺은 증권사들이다.
금감원은 지난 3일부터 키움증권에 대한 검사를 시작한 뒤 증권사에 대한 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금감원은 △개인 전문투자자 요건과 규정을 충실히 지켰는지 △고객 주문 정보를 이용했는지 △내부 임직원이 연루됐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다.
교보증권은 국내 CFD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 13곳 가운데 거래 규모와 잔액이 가장 큰 곳이다. 실제 지난 3월 말 기준 교보증권의 CFD 잔액은 6180억원이다. 올해 1~2월 CFD 거래대금도 1조835억원 수준이다.
백투백 계약은 증권사가 개인 고객을 상대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과 동일한 조건으로 외국계 증권사와 거래를 맺는 것을 뜻한다. 증권사가 위험분산(헤지)을 위해 활용하는 계약이다.
하나증권 역시 SG증권과 CFD 백투백 계약을 2019년부터 맺은 곳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하나증권 CFD 거래 잔액은 3400억원이다. 올해 1~2월 하나증권 CFD거래대금은 3011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키움증권, 교보증권, 하나증권에 대한 CFD 검사를 진행 중에 있다"며 "사이즈가 얼마나 되고 혐의 계좌가 얼마나 추출되느냐에 따라 검사 기간과 증권사 등 수사를 확대해 나갈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