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을 받고 있는 주요 시중은행들이 청년층을 겨냥한 관련 상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당국은 사회공헌 공시제도를 강화할 방침이지만 은행의 상생 노력이 사회공헌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청년 자립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KB 청년도약 금융상품 패키지를 출시했다. KB청년도약계좌와 KB청년도약 공익신탁, KB청년도약 LTE요금제로 구성됐다.
이 중 KB청년도약 공익신탁은 신탁상품에 가입할 때 기부에 동의하면 은행에 납부하는 보수 중 10%를 고객 명의로 기부하고 동일한 금액을 은행에서도 기부하는 공익 상품이다. 국민은행은 사회공헌 일환으로 기부금을 최대 2억원 마련해 청년에게 임시주거비와 생계비 등을 지원한다.
우리은행은 청년도약대출을 출시했다. 만 34세 이하 청년 중 연소득 4000만원 이하이고 3개월 이상 재직한 급여생활자가 대상이다. 우리은행은 청년들에게 생활 안정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자산·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대출을 연 5.0% 확정 금리로 제공해 금융 부담을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도 청년 상생금융을 추진하기 위해 경기도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저축과 대출이 동시에 가능한 경기청년 기회사다리금융을 먼저 추진한다. 최대 500만원까지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수시입출금식예금과 최대 500만원인 마이너스통장을 한 계좌에서 이용하도록 설계했다.
주요 은행이 청년우대 상품을 출시하는 배경에는 고금리 시기에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본 은행이 보따리를 풀어 상생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이 있다. 실제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들을 방문하며 “어려운 시기에 은행이 국민의 고통을 분담해 달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 원장의 방문에 발맞춰 상생금융 방안 발표 릴레이를 이어가고 있다.
일례로 우리은행 청년도약대출은 지난 3월 우리은행이 발표한 우리상생금융 3·3패키지에 포함된 내용이다. 당시 우리은행은 청년층 자립과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5000억원 규모 도약대출 등 청년도약패키지 명목으로 1조4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오는 8월부터 사회공헌 공시제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은행들이 사회공헌백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보고서를 통해 공시했지만 기준이 은행별로 달라 비교하기 힘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국은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은행별 2022년 사회공헌 실적을 공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은행권 상생금융이 내년 공시될 사회공헌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은행연합회와 금융위, 금감원이 협의해 정하는 사회공헌 기준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이 사회공헌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정받을 수 있을지도 확실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이제는 인정받지 못해 사회적 악역이 된 데 익숙하다”고 토로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청년 자립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KB 청년도약 금융상품 패키지를 출시했다. KB청년도약계좌와 KB청년도약 공익신탁, KB청년도약 LTE요금제로 구성됐다.
이 중 KB청년도약 공익신탁은 신탁상품에 가입할 때 기부에 동의하면 은행에 납부하는 보수 중 10%를 고객 명의로 기부하고 동일한 금액을 은행에서도 기부하는 공익 상품이다. 국민은행은 사회공헌 일환으로 기부금을 최대 2억원 마련해 청년에게 임시주거비와 생계비 등을 지원한다.
우리은행은 청년도약대출을 출시했다. 만 34세 이하 청년 중 연소득 4000만원 이하이고 3개월 이상 재직한 급여생활자가 대상이다. 우리은행은 청년들에게 생활 안정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자산·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대출을 연 5.0% 확정 금리로 제공해 금융 부담을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은행이 청년우대 상품을 출시하는 배경에는 고금리 시기에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본 은행이 보따리를 풀어 상생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이 있다. 실제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들을 방문하며 “어려운 시기에 은행이 국민의 고통을 분담해 달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 원장의 방문에 발맞춰 상생금융 방안 발표 릴레이를 이어가고 있다.
일례로 우리은행 청년도약대출은 지난 3월 우리은행이 발표한 우리상생금융 3·3패키지에 포함된 내용이다. 당시 우리은행은 청년층 자립과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5000억원 규모 도약대출 등 청년도약패키지 명목으로 1조4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오는 8월부터 사회공헌 공시제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은행들이 사회공헌백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보고서를 통해 공시했지만 기준이 은행별로 달라 비교하기 힘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국은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은행별 2022년 사회공헌 실적을 공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은행권 상생금융이 내년 공시될 사회공헌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은행연합회와 금융위, 금감원이 협의해 정하는 사회공헌 기준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이 사회공헌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정받을 수 있을지도 확실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이제는 인정받지 못해 사회적 악역이 된 데 익숙하다”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