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측이 한·중·일 고위급 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연내 3국 정상회의 개최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23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당 중앙 외사판공실 주임)은 지난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에게 한·중·일 3국 고위급 회담 개최를 타진했다.
보도에 따르면 왕 위원은 한·중·일 3국 차관급 협의 개최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한·중·일 대화가 일반 간부급 협의에서 외교장관 회담, 정상회담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왕 위원의 이번 제의는 한·중·일 정상회담 재개를 향한 의사표시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본은 연내 정상간 교류의 실현을 위한 조율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내달 미국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개최되는 등 북한의 도발을 둘러싸고 삼각 공조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중국이 상황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고 견제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최근 중국 경기 둔화 속 당국이 외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 협력을 도모한다는 계획도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이번 왕 위원의 제안과 관련해 “중국이 국제 정세와 국내 경제를 고려해 3개국 대화에 전향적인 쪽으로 기울었다”고 해석했다.
2008년부터 매년 연례적으로 개최되는 한·중·일 정상회의는 3국이 돌아가며 의장국을 맡는다. 그러나 2020년 한국이 주최하는 3국 정상회의가 코로나19 및 한·일 관계 악화로 불발되면서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린 8차 회의를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이번에 한·중·일 정상회의가 성사된다면 우리나라가 의장국으로, 서울에서 열리게 된다. 중국에서는 국가주석이 아닌 총리가 참석해 왔던 만큼 리창 국무원 총리가 방한할 것으로 점쳐진다. 중국 총리의 방한은 2015년 10월 리커창 당시 총리의 공식 방한이 마지막이다.
한편 24일 NHK에 따르면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아시아국) 사장이 회동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무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문제 등을 협의한 자리에서도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를 두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