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3/10/20240310100301762755.jpg)
재건축 안전진단 명칭이 30년 만에 '재건축진단'으로 바뀔 전망이다. 건물의 안전성뿐 아니라 주차난, 층간소음, 배관 문제 등 주거 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재건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10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은 재건축 안전진단 제도를 개편하는 내용을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1·10 대책'에서 발표한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을 위한 정부·여당안이다.
개정안은 재건축 안전진단의 명칭을 재건축진단으로 바꾸도록 했다. 지난 1994년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기 위해 주택건설촉진법을 개정해 안전진단 제도를 도입한 이후 첫 변화다.
또 개정안은 재건축진단을 통과하지 않아도 정비계획 수립과 추진위원회 구성, 조합 설립 등 재건축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재건축진단은 사업 인가 전까지만 통과하면 된다.
지금은 안전진단에서 위험성을 인정받아야 재건축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법안이 통과되면 아파트를 지은 지 30년이 지났을 경우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재건축을 시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정부는 명칭 변경과 함께 지난해 대폭 낮춘 안전진단 평가 항목의 '구조안전성' 비중을 추가로 완화할 예정이다.
현 정부는 안전진단 평가 배점에서 50%를 차지했던 구조안전성 비중을 30%로 낮추고, 주거환경(15%→30%)과 설비 노후도(25%→30%)의 비중을 높여둔 상태다. 이를 추가로 조정해 구조안전성 비중을 더욱 줄이고 주차환경, 소음 등에 해당하는 주거환경 비중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개정안에는 최근 공사비 인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분쟁 방지를 위한 방안도 담겼다.
이를 위해 지방도시분쟁조정위원회의 심사·조정 대상에는 사업시행자와 시공자 간 공사비 분쟁을 추가한다. 또 국토부에 중앙도시분쟁조정위원회를 두고, 위원회 조정 내용에 확정판결과 같은 재판상 화해 효력을 부여하기로 했다.
분쟁이 발생했을 때 기간이 오래 걸리는 소송까지 가지 않고 빠르게 결론을 내려 사업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