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하이텍, 제3하이드로센터 준공…리사이클링 시장 주도권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혜란 기자
입력 2024-05-30 08: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업체 성일하이텍이 매출선 다변화를 위한 제3공장 가동에 나선다.

    특히 배터리 제조시 핵심광물 관련 해외 의존도가 높은데,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성일하이텍 관계자는 "성일하이텍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양산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상용화하는데 성공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구축하는데 정진하고 있다"며 "새만금 제3하이드로센터에서 대규모 배터리소재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폐배터리 시장 입지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업체 성일하이텍이 매출선 다변화를 위한 제3공장 가동에 나선다. 해외 배터리 규제에 폐배터리 원자재 회수와 리사이클링 광물 사용 등이 명시되면서 관련 소재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성일하이텍이 오는 6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새만금북로 2차전지 특화단지에 위치한 제3하이드로센터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생산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환경부, 산업통산자원부 등 정부 부처 관계자들과 글로벌 배터리 관련 주요 업체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제3하이드로센터 1단계는 연간 코발트 600톤(t), 니켈 5300t, 리튬 6000t을 생산하게 되고 2단계까지 완성하면 전기차 약 30만대에 공급이 가능한 소재가 생산될 예정이다. 기존 1·2공장에서 코발트와 니켈 생산량이 4400t(전기차 약 10만대 생산 가능)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생산량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성일하이텍 1·2·3공장 생산량을 모두 합산할 경우 전기차 약 40만대 생산이 가능한 원료를 공급하게 되면서 국내 최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업체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다.

대규모 리사이클링 배터리 소재 공급을 통해 주요 배터리사와 서플라이 체인 협력을 강화한다. 폐배터리 발생량이 급증하고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EU) 핵심원자재법(CRMA) 등 각종 규제가 시행되면서 기업들은 대응 마련에 분주하다. 특히 배터리 제조시 핵심광물 관련 해외 의존도가 높은데,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성일하이텍 관계자는 “성일하이텍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양산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상용화하는데 성공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구축하는데 정진하고 있다”며 “새만금 제3하이드로센터에서 대규모 배터리소재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폐배터리 시장 입지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전북 새만금에 위치한 성일하이텍의 제3하이드로센터 전경 사진성일하이텍
전북 새만금에 위치한 성일하이텍의 제3하이드로센터 전경 [사진=성일하이텍]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