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원, 주한미군 '2만8500명' 유지키로…'국방수권법안' 처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수지 기자
입력 2024-06-15 09:0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미 하원이 주한미군의 현재 규모 유지를 포함한 2025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을 처리했다.

    전체 국방예산은 2024 회계연도에 비해 90억 달러(약 12조5000억원) 상당인 1%가량 인상됐다.

    특히 법안에는 '평화롭고 안정된 한반도라는 공동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국방부가 한국과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의회의 인식'이라며 '여기에는 한국에 배치된 약 2만8500명의 미군을 유지하는 것과 1953년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미국의 모든 방위 능력을 사용한 확장 억제를 제공하는 미국의 공약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명시했다.

  • 글자크기 설정
 
20일현지시간 마이크 존슨공화당 하원의장이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등 동맹국에 대한 950억달러 지원 법안을 통과시킨 뒤 기자회견 장면 사진AP·연합뉴스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 [사진=AP·연합뉴스]

미 하원이 주한미군의 현재 규모 유지를 포함한 2025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을 처리했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4일(현지시간) 하원은 본회의에서 8952억 달러(약 1243조4000억원) 규모 2025 회계연도 NDAA를 찬성 217표, 반대 199표로 가결했다. 전체 국방예산은 2024 회계연도에 비해 90억 달러(약 12조5000억원) 상당인 1%가량 인상됐다.
 
특히 법안에는 ‘평화롭고 안정된 한반도라는 공동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국방부가 한국과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의회의 인식’이라며 ‘여기에는 한국에 배치된 약 2만8500명의 미군을 유지하는 것과 1953년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미국의 모든 방위 능력을 사용한 확장 억제를 제공하는 미국의 공약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명시했다.
 
법안은 또 북한과 이란의 장거리 탄도미사일로부터 미국 본토를 보호하기 위해 2030년까지 미국 동부에 제3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구축할 것도 요구했다. 위치로는 뉴욕주 포트드럼 기지를 거론했다.
 
하원 다수당인 공화당은 이번 NDAA에 극우 진영이 주장해 온 다양성 후퇴와 군 관계자들의 낙태 지원 제약 관련한 다수 내용도 포함했다. 법안은 국방부가 미군 혹은 그 가족이 낙태를 위해 여행할 경우 어떤 비용을 제공하는 것도 금지했으며 군의 다양성과 평등, 포용 이니셔티브를 삭제하도록 했다.
 
상원 군사위도 이날 9118억 달러(약 1266조8000억원) 규모의 NDAA를 가결했다. 상원 군사위는 중국과 러시아, 이란의 위협과 함께 "증강된 핵 능력을 보유한 북한의 위협도 확대되고 있다"고 지목하고, 한국에 대한 확장 억제 약속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 수립을 명시했다.
 
NDAA는 미국의 국방 예산과 관련 예산 수준과 사업을 제안하는 성격을 가진 법률이다. 이는 상·하원 각각 의결, 상·하원 합동위원회의 단일안 조문화 작업, 상·하원 재의결, 대통령 서명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된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압박하며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온 만큼 관련 조항의 변경 가능성도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5개의 댓글
0 / 300
  • 전라도안구적출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전라도절단기로토막내주겨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전라도절ㅡ단기로토막내주겨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