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김정은 방러 가능성에 "러·북 간 고위급 교류 동향 예의주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윤선 기자
입력 2024-06-25 16:5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외교부는 2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에 대해 "러시아-북한 간의 고위급 인사 교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임 대변인은 이번 푸틴 대통령 방북을 계기로 러·북이 밀착 행보를 과시하고 있는 것에 "북한이 거듭된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안보리 결의를 계속 위반할 경우 우리 정부는 언제라도 필요한 대북제재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며 한국이 이번 조약을 차분히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 "러시아, 북한과의 군사 협력 즉각 중단해야…우리 입장 충분히 전달"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외교부는 2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에 대해 "러시아-북한 간의 고위급 인사 교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러시아와 북한이 관련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관련된 협력이 이루어지기를 촉구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 오전 지난주 평양을 방문했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낸 감사 전문을 1면에 게재했다. 푸틴 대통령은 "당신은 러시아 땅에서 언제나 기다리는 귀빈이라는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며 김 위원장 방러 초청 의사를 시사했다.

아울러 임 대변인은 이번 푸틴 대통령 방북을 계기로 러·북이 밀착 행보를 과시하고 있는 것에 "북한이 거듭된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안보리 결의를 계속 위반할 경우 우리 정부는 언제라도 필요한 대북제재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며 한국이 이번 조약을 차분히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언급은 러·북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에 따른 후폭풍으로 한·러 관계가 냉각한 와중에 나온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이미 러·북 간 신조약 체결 이후에 우리 정부는 이번 조약이 상호 군사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데 대해 엄중한 입장이라는 점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군사 협력을 즉각 중단하고,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처해나갈 거라는 입장을 계속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병원 차관보가 전날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된 제19차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이와 같은 정부 입장을 발표했다"며 "이에 대해서 러시아 측 수석 대표는 아무런 반응이 없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