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인하] [전문가 진단] 韓 연말 3.25%, 내년 2.50~2.75%…"당분간 중금리 지속"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성서·권성진·장선아 기자
입력 2024-09-19 18: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하하는 '빅 컷'을 단행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026년 말 금리를 2.75% 수준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내년 경제성장률이 2%대에 못 미치면 (후년에는) 2.50%까지 내려 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 번씩 금리가 인하된 뒤 2026년에도 한두 차례 더 낮춰 최종 금리는 2.25~2.50%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전문가 6명 진단…"가계부채 영향에 '빅스텝' 어려워"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 별관에서 열린 미국 FOMC 주요 결과 및 국제금융시장 동향 관련 거시경제금융회의 시작에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 별관에서 열린 미국 FOMC 주요 결과 및 국제금융시장 동향 관련 거시경제금융회의 시작에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하하는 '빅 컷'을 단행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 전문가 대부분은 연내 한은의 금리 인하 횟수를 1회로 예상했지만 2025·2026년 전망을 놓고는 의견이 갈렸다.

19일 아주경제신문이 금융·자본시장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연말 기준 기준금리 예상치를 묻자 모두 현재보다 0.25%포인트 낮은 3.25%를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집값 상승세를 우려하며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주문하고 있는 만큼 연준과 같이 연내 2회 이상 인하하거나 빅 컷에 나서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채권전략팀장은 "올해는 한 차례 인하에 그칠 것"이라며 "내년에 집중적인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내년 이후 금리 전망은 엇갈렸다. 전문가 네 명은 내년 연말까지 금리가 두 차례 인하돼 2.75%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1명은 세 차례 인하된 2.50%, 1명은 2.50~2.75%를 전망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최소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공산이 크지만 경기가 좀 더 안 좋아질 경우 2.50%까지 내려갈 수 있다"며 "다만 예전처럼 2.00% 수준까지 떨어지는 건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은이 연준처럼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지 않았기 때문에 인하 폭을 확대하기 쉽지 않다"며 "내년 두 차례 내려 2.75%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2026년 금리 전망은 2.25%~2.75%로 범위가 넓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026년 말 금리를 2.75% 수준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내년 경제성장률이 2%대에 못 미치면 (후년에는) 2.50%까지 내려 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 번씩 금리가 인하된 뒤 2026년에도 한두 차례 더 낮춰 최종 금리는 2.25~2.50%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경기 진작 위해 고금리 완화…중금리 기조 전환"
코로나 팬데믹과 뒤이은 인플레이션 확대 영향으로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기조는 중금리 수준으로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고금리를 버티기 어려운 환경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 2%대 중반에서 3%대 초반의 중금리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내수가 좋지 않지만 (우리나라 산업 구조가) 수출 주도형이라 저금리 기조는 여건상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중금리 기조 정착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상반된 주장이 제기됐다. 백윤민 연구원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 인상 폭이 작아 현재를 경기 침체 상황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금리보다는 정부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고 내다봤다.

안재균 연구위원도 "미국 경제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한국 경제도 긍정적인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며 "경기 침체 때문에 금리를 내린다기보다는 침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고금리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반면 윤여삼 연구원은 "중금리 기조가 이어질 경우 국내 경제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경기 침체가 심화하지 않더라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가 여전한 만큼 긴축 완화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