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오는 7~8일 제43대 회장 보궐선거 결선투표를 진행, 김택우 강원도의사회장(전국시도의사회장협의회장)과 주수호 미래의료포럼 대표(의협 전 회장) 중 최종 차기 회장을 결정한다. 양 후보는 전날 1차 투표에서 각각 27.66%·26.17%의 득표율을 얻으며 1·2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당선자는 결과 발표 즉시 회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업계에선 양 후보가 결선투표에 진출한 것에 대해 커진 ‘대정부 반발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만큼 의료계가 정부 정책에 느끼는 불합리성이 크다는 뜻이다. 이에 최대 강경 인사를 앞세워 대화보단 투쟁을 통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공감을 끌어냈다.
양 후보 중 누가 회장직을 맡더라도 대정부 압박 수위는 고조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 의료개혁 백지화 등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의 전면 무효도 주장하고 있다. 김 후보는 “대통령이 부재한 상태인 만큼 대통령이 추진했던 모든 정책은 잠정 중단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를 관철하기 위해 투쟁 중심의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김 후보는 지난해 3월 집단행동 교사 혐의로 면허정지 3개월 처분을 받기도 했다. 각종 투쟁을 주도하고 있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도 절친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제들이 먼저 해결돼야 사직 전공의의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수련병원 211곳의 전공의 출근율은 여전히 10%를 밑돈다. 의료계에선 연내 사직 전공의를 비롯한 의대 휴학생들의 복귀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
문제는 의정 간 소통이 완전히 단절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도 대화 창구는 사실상 멈춰있는 상태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출범한 여야의정협의체 역시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 탈퇴로 공식 대화가 중단됐다. 이후 비상계엄 사태 당시 '전공의 처단' 포고령 여파로 대통령실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내 병원단체 3곳마저 이탈했다. 지난해 출범을 약속했던 의사·간호사 인력수급추계위원회도 결국 가동되지 못했다.
의료계 관계자는 “(양 후보 중 한 명의 당선이 확정되면서) 정부가 대화 가능성을 열어 둔다고 해도 양측 대립 구도는 장기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