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41449634503.jpg)
13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융감독원은 PF 고정이하여신 충당금 적립비율을 저축은행별로 최소 50% 이상 유지하라고 지도했다. 기존에는 없던 기준이다.
고정이하여신이란 3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이며, 충당금은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채권에 대해 미리 책정해두는 비용이다. 고정이하여신 충당금 적립비율이 50%라는 것은 예컨대 고정이하여신이 100억원 있으면 50억원을 충당금으로 적립해 두라는 의미다.
지난해 9월 기준 전체 저축은행이 보유한 PF 규모는 총 15조4000억원이며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9.2%(고정이하여신 4조4968억원)다. PF 고정이하여신에 대해 쌓은 충당금은 2조원 수준으로, 이를 통해 계산했을 때 저축은행 업계 충당금 적립비율은 44.5% 수준이다.
저축은행 업계 평균 총여신 대비 고정이하여신 충당금 적립비율은 59%로 PF 충당금 적립비율 44.5%보다 높았다. 부동산 경기 악화로 PF 부실위험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오히려 일반 여신 대비 PF 충당금 적립비율이 더 낮은 상황이다. 금감원은 최근 고정이하여신 비율 관리 등 건전성 개선이 필요한 20여 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과 경영진 면담을 진행해 충당금 확보를 재차 요구하기도 했다.
금융당국이 이처럼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요청하는 것은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우선 구조조정을 촉진할 수 있다. 현재 경‧공매를 통한 부실 PF 정리가 예상보다 더딘 상황이다. 충당금은 통상 회사 이익에서 적립하기 때문에 충당금 비율이 높아지면 실적은 악화한다. 이에 실적 개선을 원하는 저축은행에 충당금 확대는 경‧공매나 상각 유인이 된다.
두 번째로는 위기 상황에 대비해 안전판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지금과 같이 시장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 충당금이 충분하면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회사가 한번에 고꾸라지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최근 금융권은 서로 긴밀히 연결돼 있어 한 금융사의 위험이 연쇄적인 유동성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
충당금 적립 증가로 지난해 4분기 저축은행 업계 실적은 악화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저축은행 업계는 고정이하여신을 줄이기 위해 부실채권(NPL) 전문매각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며 부실채권을 매수하는 저축은행 PF정상화 펀드(3차)도 준비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업무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기존 부실을 빨리 정리해야 한다”며 “PF 부실 위험이 늘어난 만큼 최소 50% 이상 충당금을 쌓아 손실 흡수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