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법(칩스법)에 따라 미국 내 투자 기업에 미국 정부가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에 대해 트럼프 정부가 재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일부 반도체 보조금 지급이 미뤄질 것이라는 신호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보조금 지급액을 감축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협상 전략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 달러(약 53조4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에서 이를 지원하는 보조금 47억4500만 달러(약 6조8000억원)를 받기로 계약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미 상무부는 여기에 최대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상태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레거시(범용) 시장에서의 중국 추격과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등을 위한 메모리 새판짜기에 나서면서 미국 파운드리 투자는 기존 계획보다 줄인 상태다. 미국 생산라인의 경우 공장 건설은 물론 향후 장비·설비 반입,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늘어날 수 있는 만큼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타국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과 타협하기 위해 경제인들의 행보도 바빠질 전망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자격으로 오는 19~20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국내 2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된 사절단은 미국 정·재계 인사들과 만나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 및 보조금 재협상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 등을 전달하고 정부 간 경제 협력 논의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