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가 아닌 보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 측이 '해방의 날'이라고 부르는 다음 달 2일이 다가오면서 관세율을 높이고, 보다 더 광범위한 관세를 매겨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는 보도를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등 일부 종목에 관해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다른 분야 일반관세의 관세율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WSJ은 미국이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20%의 일반관세를 적용할 것으로 봤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보편관세를 지지했으나, 취임 후 상호관세로 입장을 선회했다. WSJ의 주장대로라면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보편관세로 돌아서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WSJ은 트럼프 팀이 핵심 광물과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타격을 주는 새로운 산업별 관세 목록에 대해 2일 공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