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IPTV) 3사(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가 공동 조성하는 ‘IPTV 전략펀드’가 운용사 선정 단계부터 좌초 위기에 놓였다. 내부 컨소시엄 이탈과 투자 심리 위축 등이 겹치며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IPTV 협회는 연내 운용사 선정을 마치겠다고 공언했지만,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펀드를 위탁 운용할 운용사가 나타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13일 방송통신업계에 따르면 당초 지난 2월로 예정된 IPTV 전략펀드 조성을 위한 운용사 선정이 투자 불확실성으로 현재까지 확정되지 않고 있다.
해당 펀드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방송·영상 콘텐츠에 투자될 예정이었다. IPTV 3사가 별도로 조성하는 펀드로 각사가 100억원씩 출자해 운용을 통해 400억원 이상 조성을 목표로 결성됐었다.
투자 컨소시엄의 내부 사정과 절차적 문제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IPTV 3사가 공동으로 조성하는 펀드는 영상콘텐츠업계의 자금 순환을 지원하기 위한 지분 투자 성격이었으나, 컨소시엄에 참여한 벤처캐피털(VC) 중 한 곳이 모회사 결정으로 돌연 이탈하면서 펀드 운용에 차질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미디어·콘텐츠 산업 전반의 투자 심리가 위축된 점도 운용사 선정 난항의 배경으로 꼽힌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제작비 상승 등으로 민간 자본의 유입이 최근 줄어들고 있다. 운용사들은 대규모 자금 집행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실제 지난해 정부가 계획했던 6000억원 규모 K-콘텐츠 펀드도 아직 목표액을 모두 조성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2028년까지 1조원대 규모의 전략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지난해 2000억원 모집에 그쳤다.
투자업계에서는 IPTV 전략펀드는 이미 물 건너갔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IPTV 협회 관계자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현재 각 사별로 펀드 추진을 하고 있다"면서 "생각보다 속도가 더뎌 아직은 운용사 선정이 안 됐지만, 연내에는 꼭 추진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한 IPTV 업계 관계자도 "콘텐츠 투자 시장 자체가 침체됐다고 볼 수 없다"며 "연초에는 탄핵 정국 이슈가 있어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미쳐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