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최근 미국과 일본의 공동편제무기 군수 협력에 반발하며 강력한 억제력을 비축하겠다고 위협했다.
2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 국방성 장비총국 부총국장은 전날 담화에서 "미국과 일본이 추구하는 첨단무기 공동 생산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새로운 전략적 불안정 요소를 추가하며 불길한 기운을 짙게 몰아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부총국장은 "최근 미 국방장관의 일본 행각을 계기로 미·일이 최신 예공중대공중 미싸일(미사일) 'AIM-120'을 공동 생산하기로 공식 합의한 것이 그 대표적 사례"라며 "철저히 공격형·침략형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미·일 군사 동맹의 또 하나의 새로운 공동편제무기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가속화되고 있는 미·일 군수 협력이 지역 나라들을 군사적으로 억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라며 "이는 동북아시아 지역 나라들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경고 신호로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과 그 추종 동맹국들이 우리 국가의 주변에 조성하고 있는 불안정한 전략적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적수 국가들이 자기의 정치·군사적 야망을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만들 수 있는 강력한 억제력을 비축하는 것은 앞으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우선적 과제로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군사적 긴장 상황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적중한 해법을 적용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며 "워싱톤(워싱턴)과 그 하수인들의 군사적 패권 기도는 철저히 불허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담화에 대해 "미·일 군사 협력 강화의 부당성을 제기하며 자위적 핵억제력 강화의 정당성을 항변하는 것"이라며 "핵미사일은 보유하고 있으나, 이를 무력화시키는 시도를 억제하는 공군력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북한으로서는 미·일, 한·미·일 공중훈련은 상당한 위협"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과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은 지난달 30일 첫 대면 회담을 갖고, 미국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암람(AMRAAM)의 공동 생산을 조기 개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