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모빌리티쇼] 잔칫날 또 관세폭탄…자동차·건설기계 "시장 경쟁력 확보 총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정훈 기자
입력 2025-04-03 17: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무뇨스 현대차 사장 "관세 크게 놀랍지 않아…경쟁력 유지할 것"

  • 송호성 기아 사장 "관세 유연대응‥미국 내 공장 생산 늘려 대응"

  • HD현대사이트솔루션, 美 관세에도 "생산 차질 없어…유연 대응"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자동차·건설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자동차 업계는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건설 업계는 원자재 수급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이번 관세 조치는 예상된 수준이며 현대차는 미국 시장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면서 "장·단기 전략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호성 기아 사장도 "미국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전략을 수립 중이며, 최대한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관세 조치가 확정되지 않은 만큼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면서도 "향후 대응 방안을 내부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업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덕분에 기존 관세 부담을 일부 완화할 수 있지만,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낮은 업체들은 추가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184만대 중 60% 이상이 한국과 멕시코에서 수출된 물량이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앨라배마와 조지아 공장의 생산 규모를 연간 100만대에서 120만대로 확대하고 전기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가동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건설기계 업계도 미국 시장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에도 원자재 수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부사장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26%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아직 상세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지만, 북미 시장에서 스탠스 변화를 준다든지 그런 상황은 아니다"라며 "정책이 확정되면 보다 명확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정부는 5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하고, 9일부터 국가별 차등 관세를 적용해 최대 26%까지 인상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