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공격에 직격탄을 맞은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이 이제는 중국산 저가 공세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평가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주요 아시아 국가들 중 한국은 26%의 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일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24%)보다는 다소 높지만 중국(54%, 추가관세 포함), 베트남(46%), 태국(37%), 인도네시아, 대만(32%), 인도(27%) 등 아시아 주요국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로이터통신은 이른바 베트남과 같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수혜를 입은 여러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피해가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생산 기지를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같이 설치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24%의 상호관세가 적용된 일본은 주요 아시아 국가들 중 낮은 수준이지만 그동안 관세 면제를 위해 끈질기게 노력해 온 것에 비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라는 관측이다. 이에 이날 일본 정부는 “지극히 유감”이라며 지속해서 미국에 제외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시아 각국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대체로 미국 측과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자세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하는 무역 및 안보 조치가 강경한 만큼 협상 성공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로이터는 평했다. 아울러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값싼 중국산 제품이 자국 산업에 미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무역 장벽을 세울 것인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관측이다.
따라서 로이터는 “아시아에는 더 이상 안전한 항구가 없으며, 관세 폭풍이 이미 덮쳤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