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에 잠긴 자영업자] 겉은 '맛집', 속은 빚더미…"대출 3개로 버팁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서영·정윤영 기자
입력 2025-04-07 18: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개인사업자 75%, 월소득 100만원 미만

  • "빚에 쫓기는 영업, 더 많은 지원 절실"토로

가로수길에 건물 1층에 임대를 위한 부동산의 현수막이 걸려있다 사진이서영 기자
가로수길 한 건물 1층에 임대를 위한 부동산의 현수막이 걸려있다. [사진=이서영 기자]
서울 강남구 가로수길. 일요일 오후인데도 중심 거리엔 인적이 드물다. '핫플레이스'였던 상권은 한때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입점했던 중심 건물에서부터 연달아 7곳이 비어 있었다. 텅 빈 점포 앞을 지나던 시민은 예전 방문했던 매장을 찾다가 포기한 듯 "다 없어졌네"라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이는 가로수길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한때 사람들로 북적였던 서울 시내 주요 상권은 평일·휴일 가릴 것 없이 학교가 끝난 뒤 운동장처럼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촌에서 일식당을 운영하는 이모씨(58)는 대출 세 개를 안고 하루하루를 버틴다. 외부에선 '맛집' 소문이 자자하지만, 실제로는 대출 원리금 상환에 쫓기며 생활을 이어간다. "주택담보대출은 말할 것도 없고, 신용보증재단에서 받은 5000만원, 지역구 정책자금으로 받은 1억원까지. 다 합치면 연간 매출이랑 엇비슷해요."

그가 말하는 가장 큰 부담은 월세,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다. 4년간 장사하던 자리를 떠나게 된 것도 임대인의 무리한 임대료 요구 때문이었다. 새 가게로 옮긴 뒤 리모델링과 초기 비용으로 대출을 늘렸고, 초기만 해도 매출이 괜찮았다는 게 이씨의 설명. 하지만 계엄령 이후 연말부터 매출이 20%가량 줄었다. 

이씨는 정책자금으로 받은 대출에 숨 막힌다고 이야기했다. 1억원가량 받은 대출은 이율이 1%로 낮지만, 4년 내 원금 상환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이다. "정책자금 대출은 3개월에 한 번씩 600만원 넘게 한꺼번에 갚아야 해요. 장사 잘되던 시기엔 괜찮지만, 지금처럼 매출이 빠지면 그냥 막막하죠." 이씨뿐만 아니라 지난해 연말 기준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대출상품이 3개 이상인 다중채무자(176만1000명)는 56.5%를 차지하고 있다.

겉으로 보이는 어려움을 넘어, 근본적인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지난 2023년 연소득을 0원으로 신고한 개인사업자는 105만명, 월 100만원도 안 되는 소득(1200만원 미만)으로 신고한 이들은 816만명에 달했다. 전체 개인사업자 75%가 실제 생계 유지조차 벅찬 상황이다. 서울 서대문구에서 한식당을 10년 넘게 운영해온 김모씨(55)는 "받을 수 있는 대출은 다 받았다"며 "고3 아들이 대학 가면 학자금 대출을 받아, 그 돈을 생활비로 써야 할 판"이라며 토로했다.

내수 침체와 빚은 결국 파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송파구 가락시장 내 수많은 횟집들도 문을 닫았다. 최영현 가락시장 수산중도매인연합회장은 "영업 자금으로 비용을 메우며 현상 유지만 하는 사람이 비일비재하고, 그러다 수금이 막히면 부도로 이어지는 수산업자가 많다"며 "내부적으로 집계했을 때, 가락시장 내 수산업 종사자 중 파산하는 비중은 코로나19 때보다 약 30%포인트 늘었다"고 전했다. 

자영업자 지원 정책이 여전히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이들은 꼬집는다. 이씨는 "폐업 직전까지 가야 대출을 겨우 준다"며 "열심히 장사하고 경제에 이득을 줄 이들에게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