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갤럭시 S25 판매 호조와 D램 출하량 선방 등에 힘입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냈다.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반등 모멘텀을 확인했다는 평가가 중론이다.
8일 삼성전자는 1분기 잠정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15%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2분기(10조4439억원) 이후 2개 분기 연속 역성장하던 영업이익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게 반갑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6조4927억원이었다.
1분기 매출액은 79조원으로 전년 대비 9.84% 늘었다.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분기 기준 최대인 지난해 3분기(79조1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영업이익과 매출액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액은 77조2208억원, 영업이익은 5조1148억원 수준이었다.
사업부별 세부 내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시장에서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4조원 넘는 영업이익을 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지난 2월 출시된 갤럭시 S25 시리즈가 역대 최단 기간 100만대 판매 돌파로 흥행에 성공하면서 견인차 역할을 했다.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영업이익은 1조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관세 폭탄을 앞두고 선제적 물량 확보 영향으로 D램 출하량이 늘면서 메모리에서 3조원 내외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시스템LSI사업부가 여전히 적자 상태이고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량도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2분기 이후 실적은 불확실성이 높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후폭풍이 본격적으로 몰아닥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메모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건 긍정적이다. 호재와 악재가 교차하는 시기라 삼성전자 특유의 공격적인 의사 결정이 절실하다.
한편 사업 부문별 실적을 포함한 1분기 확정 실적은 오는 30일 발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