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 추진 박차

  • 선제적 지구단위계획 기반해 체계적 사업 추진 지원

  •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보

  • 기반 시설 확보 등 담아 사업성 확보

장병국 신도시개발 국장이 정책 브리핑을 열고 있다사진박재천 기자
장병국 신도시개발 국장이 정책 브리핑을 열고 있다.[사진=박재천 기자]

경기 광명시가 9일 사업성 낮은 지구 내 공동주택의 원활한 재건축 사업 지원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등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날 신도시개발 장병국 국장은 시청 중회의실에서 기자 브리핑을 열고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오는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고 말 문을 열었다.
 
장 국장은 "노후·공동주택 단지가 집중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사진박재천 기자
[사진=박재천 기자]

재건축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 14개 단지 2만 6518세대에서 6000세대 증가한 3만 2000여 세대가 돼 약 7만 9000명의 시민이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은 오는 12월 단지별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공사 착공, 2033년 재건축 정비사업 준공을 목표로 순차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특히, 장 국장은 이번 사업 핵심으로 지난해 3월 철산주공12~13단지, 하안주공1~13단지를 대상으로 수립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꼽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은 이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완료 전 계획을 수립해 원활한 재건축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했기 때문이다.
 
현재 철산주공12~13단지와 하안주공1~12단지(하안주공13단지 제외) 등 14개 단지는 재건축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며, 철산주공12~13단지는 2023년 1월, 하안주공1~12단지는 2024년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았다.

 
사진박재천 기자
[사진=박재천 기자]

하지만 이들 단지는 대부분 15층 규모의 중층 공동주택으로, 용적률이 평균 168%에 달해 사업성이 낮아 지구단위계획에 사업성 확보 방안, 편의시설 확보 방안 등을 담아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추진 기반을 마련해야 했다.
 
이에 장 국장은 지구단위계획에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보, 기반 시설 확보 등의 내용을 담아 원활한 추진을 도왔다.
 
우선 정비구역 통합개발로 기반시설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했다.
 
하안주공1·2단지, 하안주공3·4단지, 하안주공6·7단지, 하안주공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4개로 묶고 나머지 단지들은 개별로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통합개발을 유도했다.
 
4개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인 8개 단지는 묶인 단지끼리 물리적으로 큰 구분 없이 인접해 있어 개별적으로 정비하기보다는 하나의 정비구역으로 묶어 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연계성을 강화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게 장 국장의 설명이다.

 
사진광명시
[사진=광명시]

또 향후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시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지구 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통합적으로 계획해 획일적인 층수 계획을 지양하고,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아름다운 도심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주변 산의 조망권을 해치지 않도록 조화로운 경관유지에도 중점을 둔 상태다.
 
한편 박승원 시장은 “이번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으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삶의 질과 여유로운 휴식공간을 제공해 보다 안정적이고 살기 좋은 생활 기반이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