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수주가뭄 비상] 올해 건설 일감 일제히 후퇴...공공은 수주 30% 감소

서울 시내 한 공사 현장 아주경제 DB
서울 시내 한 공사 현장. [아주경제 DB]

경기 침체로 올해 건설업계 수주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물량 수주 규모가 전년 대비 3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중소 건설사와 지방 건설사 중심으로 침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집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건설사들의 누적 수주액 규모는 약 21조716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7% 감소한 수준이다. 
 
이 중 민간 분야 수주액은 약 16조4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고 공공 수주는 5조6730억원에 불과해 전년 동기 대비 28.2% 줄었다.
 
공공 수주액 규모는 올 들어 2개월 연속 3조원을 밑돌았다. 민간 수주액이 1월 7조6630억원으로 전년보다 20% 줄었다가 2월엔 8조3790억원으로 2.5% 감소하는 등 점차 회복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공공 수주액 감소는 1월 토목과 비주택 건축 수주액이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여파도 있지만 일부 공공사업 지연으로 발주 규모가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공공부문 주택건설 착공 실적은 673가구에 그쳐 올해 설정 목표치 대비 1%에 불과한 실정이다. 하남 교산, 부천 대장 등 일부 사업 추진이 줄줄이 늦어진 영향이다. 건산연 통계에서도 올해 1월 주택 부문 건설기성액은 전년 동월(6조6000억원) 대비 25.7% 감소한 약 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공공 발주 의존도가 높은 지방 중소 건설사들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방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연초 물량이 적다는 점을 감안해도 올해 초 공공 분야 발주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치적으로 불확실성이 워낙 컸다 보니 지자체 등 SOC(사회간접자본) 발주 역시 늦어지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들어서는 충북 1위 건설사인 대흥건설이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올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만 벌써 9곳에 달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 사업이 아닌 국도나 고속도로 등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최대 집행률을 보일 정도로 성과를 냈지만 지자체 발주 물량은 많지 않고 아직 연초인 만큼 발주 감소 여파가 여전한 것은 사실”이라며 “특히 민자 합동으로 진행되는 공공 사업들은 금융권이나 건설업계 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사업을 늦추지는 않더라도 굳이 먼저 사업을 집행하지 않으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