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유기농 와인 본테라, 맛·향·환경 등 '오각형 와인' 자리매김

  • 유기농 와인 본테라, 1987년부터 유기농법 고수

  • "화학 비료·살충제 제한해 포도 본연 맛 극대화"

  • 본테라, 대한민국 주류대상·더 블라인드서 수상

이소리 소믈리에가 9일 서울 서초구 무드서울에서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 주요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이소리 소믈리에가 9일 서울 서초구 무드서울에서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 주요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유기농 와인은 화학 비료, 살충제 사용을 배제하는 만큼 포도 본연 맛과 향을 더 잘 느낄 수 있습니다"

이소리 소믈리에는 9일 서울 서초구 무드서울에서 열린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 기자 간담회에서 "본테라는 좋은 땅에서 좋은 와인이 나온다는 철학으로 1987년부터 유기농 재배를 이어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소믈리에는 세계적인 와인기업 콘차 이 토로(Concha Y Toro) 브랜드 앰배서더를 맡고 있는 국내 정상급 소믈리에다.

종합주류기업 아영FBC가 판매하는 본테라는 이름부터 '유기농'을 강조하고 있다. 라틴어로 본(Good)+테라(Earth)는 '좋은 땅'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소믈리에는 본테라가 이름에 걸맞은 떼루아(Terroir)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떼루아란 와인 원료인 포도를 생산할 때 영향을 주는 토양과 기후 등의 조건을 통틀어 말한다. 

그는 "유기농법으로 포도를 재배해 와인을 만들고 싶더라도 기후가 갖춰지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며 "이런 점에서 본테라 포도밭이 있는 캘릭포니아 북부 멘도치노 카운티는 최적의 장소"라고 말했다.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 와인 4종에스테이트 카베르네소비뇽 맥냅 소비뇽블랑 사진아영FBC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 와인 4종(에스테이트·카베르네소비뇽·맥냅·소비뇽블랑) [사진=아영FBC]

멘도치노 카운티는 태평양 영향으로 낮에는 따뜻하고 밤에는 선선해 포도가 천천히 익어 풍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포도송이는 촘촘하다 보니 곰팡이와 같은 병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건조하면서도 통풍이 잘되는 기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뜻이다.

이 소믈리에는 "멘도치노 카운티는 해안가부터 내륙까지 포도밭이 펼쳐져 있다. 이 중 본테라 포도밭은 내륙 쪽과 가까워 일조는 풍부하면서 동시에 해안가에서 시원한 공기가 불어와 순환이 잘 돼 병충해로부터 자유롭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유기농 와인 생산에 최적화한 환경이라는 의미다.

특히 토양도 점토질과 자갈이 섞여 포도나무가 깊게 뿌리 내릴 수 있어 포도나무가 건강하게 자라는 요건을 갖췄다. 

이 외에도 본테라는 아황산염 사용을 기존 와인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아황산염은 와인 산화 방지 역할을 해 와인 제조에 있어 필수 요소. 하지만 아황산염 사용량이 많아지면 풍미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만 사용하는 셈이다.

본테라는 화학 비료와 제초제 사용을 배제하는 유기농 농법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나타내는 △B Corp △TRUE 제로 웨이스트 △데메테르 인증을 받았다. 
 
본테라 소비뇽 블랑 2023왼쪽부터 본테라 카베르네 소비뇽 2019 본테라 에스테이트 카베르네 소비뇽 2021 본테라 더 맥냅 2020 사진홍승완 기자
본테라 소비뇽 블랑 2023(왼쪽부터), 본테라 카베르네 소비뇽 2019, 본테라 에스테이트 카베르네 소비뇽 2021, 본테라 더 맥냅 2020. [사진=홍승완 기자]

이날 아영FBC는 △본테라 소비뇽 블랑 2023 △본테라 카베르네 소비뇽 2019 △본테라 에스테이트 카베르네 소비뇽 2021 △본테라 더 맥냅 2020을 소개했다.

본테라 소비뇽 블랑 2023은 빛나는 연한 녹색을 띠며 별도로 효모를 첨가하거나 말로락틱 발효를 하지 않아 소비뇽 블랑의 상큼한 맛과 향을 끌어 올렸다.

본테라 카베르네 소비뇽 2019은 석류석 같은 진한 색상이며 가죽, 담배, 연필심의 뉘앙스가 잘 구조화된 중간 맛을 구성하고 풍부한 타닌(떫은맛)을 함께 느낄 수 있다. 특히 본테라 카베르네 소비뇽은 '2025년 대한민국 주류대상'에서 Best of 2025를 수상(레드와인 5만원 이상 10만원 이하)하기도 했다.

본테라 에스테이트 카베르네 소비뇽 2021은 보랏빛이 감도는 색상이며 향신료·블랙 체리·블랙 커런트·가죽과 담배·연필심의 아로마를 맡을 수 있다. 본테라 에스테이트 콜렉션 카베르네 소비뇽 역시 지난해 무드 서울에서 열린 ‘더 블라인드 (THE V:LIND)’ 행사에서 레드 와인 부문 1등을 수상한 바 있다.

본테라 더 맥냅 2020은 본테라 최고급 와인으로 멘도치노 카운티 내 가장 우수한 테루아에서 자란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를 주 품종으로 프티 시라(Petite Sirah) 등을 블렌딩했다. 탄닌감이 풍부하면서도 부드럽게 넘어가 마시고 난 뒤 오랫동안 향기가 입안에 감돈다.
 
이소리 소믈리에가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아영FBC
이소리 소믈리에가 미국 유기농 와인 브랜드 '본테라'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아영FBC]

아영FBC는 친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유기농 와인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영FBC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글로벌 유기농 와인 시장 규모는 약 11~13조원으로 추정되며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최대 12.4% 성장해 200~288억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기농은 맛이 떨어진다는 편견은 이미 블라인드 평가에서 깨진 데다 국내에서 유기농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시음회와 체험형 와인 행사를 운영해 소비자와 만날 접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